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Bank 은행

DLF사태로 혼쭐난 은행권, 조직개편도 ‘소비자보호’ 강화 우선

URL복사

Monday, February 24, 2020, 06:02:00

DLF·사모펀드사태 등 잇따른 금융사고로 소비자 불신↑
소비자보호·투자상품 전문성 강화에 맞춰 조직 재정비

 

인더뉴스 박민지 기자ㅣ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와 라임자산운용의 사모펀드 사태 등 잇따른 금융사고로 소비자들의 불신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은행권은 신뢰 회복을 위해 소비자보호 기능을 담당하는 조직을 적극 개편하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가 지난달 발표한 ‘금융소비자 보호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금융사에 대한 소비자의 전반적 인식은 부정적입니다. 응답자 1045명 중 73%는 금융사가 상품 판매 후 고객에게 신경 쓰지 않는다고 답변했습니다. 또 금융사는 사고·피해 발생 시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응답이 75.7%에 이릅니다.

 

지난해 대규모 원금 손실을 낸 DLF의 불완전판매 논란으로 소비자 불신이 최고조에 이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에 은행권은 현재 소비자보호와 투자상품 전문성 강화에 초점을 맞춰 조직 재정비에 나서고 있습니다.

 

우리은행은 기존 소비자브랜드그룹을 ▲금융소비자보호그룹과 ▲홍보브랜드그룹으로 분리 재편했습니다. 새로 만들어진 금융소비자보호그룹은 은행장 직속으로 독립시켰습니다. 소비자보호 업무의 전문성·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해서입니다.

 

또 기존 WM(Wealth Management)그룹을 자산관리그룹으로 바꿨습니다. 소비자 중심 자산관리를 강화해 개별 소비자 특성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하나은행은 기존에 겸직 체제로 운영하던 소비자행복그룹과 소비자보호본부를 분리·강화했습니다. 소비자행복그룹은 소비자보호그룹으로 격상됐고, 소비자보호본부는 손님행복본부로 독립 배치됐습니다. 소비자보호에 중점을 둔 것입니다.

 

투자상품서비스(IPS)본부를 새로 만들면서 투자 적합성을 검증·관리하기 위한 손님투자분석센터를 함께 신설했습니다. 개인영업그룹 역시 리테일그룹으로 개편했습니다.

 

리테일그룹 안에는 리테일사업단, 자산관리(WM)사업단, 기관사업단, IPS본부가 들어있습니다. 상품개발부터 판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리테일그룹이 담당토록 연계 영업을 강화한 것입니다.

 

신한은행은 IPS본부를 그룹으로 격상시켜 별도의 조직으로 독립했습니다. 의사결정 독립성을 갖고 신한금융그룹 전체의 상품 내부통제 등 전략을 총괄한다는 포석입니다. 또 소비자보호그룹을 만들어 부행장보를 책임자로 임명했습니다.

 

KB국민은행은 24명의 인원으로 구성된 금융사기대응팀을 신설했고, '전행적 소비자보호 강화와 대포통장 감축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했습니다. 브랜드전략그룹 산하였던 소비자보호 분야를 별도로 분리해 소비자보호본부를 신설했습니다.

 

또 기존 WM그룹 내 IPS본부와 신탁본부를 통합해 금융투자상품본부로 확대했습니다. 대고객 자산관리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WM과 신탁부문간 실질적인 협업을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은행권 관계자는 “DLF, 라임사태의 연이어 발생으로 금융상품 판매와 운용에 대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고객의 신뢰가 크게 떨어졌다”며 “이를 계기로 은행들이 소비자보호 기능 강화를 위한 조직 개편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박민지 기자 freshmj@inthenews.co.kr

배너

삼성전자, 업계 최초로 TV·모니터에 AI 검색엔진 ‘퍼플렉시티’ 탑재

삼성전자, 업계 최초로 TV·모니터에 AI 검색엔진 ‘퍼플렉시티’ 탑재

2025.10.22 09:48:16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가 2025년형 TV와 모니터에 업계 최초로 생성형 AI '퍼플렉시티(Perplexity)'를 탑재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적용 모델은 2025년형 마이크로 RGB, Neo QLED, QLED, OLED, 더 프레임 프로, 더 프레임 TV와 2025년형 M7, M8, M9 모니터입니다. 퍼플렉시티는 AI 기반의 검색 엔진으로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자료를 수집·분석해 심도 있는 답변과 추가 질문을 제안합니다. 예를 들어 영화 추천, 여행 계획 수립, 스포츠 경기 결과, 기업 실적 결과 분석 등 주제의 사용자 질문에 맞춰 최적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TV와 모니터 화면의 앱스(Apps) 탭 또는 리모컨의 AI 버튼을 눌러 '비전 AI 컴패니언'을 실행한 뒤 퍼플렉시티 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퍼플렉시티가 탑재된 삼성 TV와 모니터 사용자들은 '퍼플렉시티 프로' 12개월 무료 구독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연내 OS 업데이트를 통해 2023년형, 2024년형 TV와 모니터에도 퍼플렉시티를 탑재할 예정입니다. 안희영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상무는 "업계 최초로 삼성 TV와 모니터에 퍼플렉시티를 탑재해 더욱 특별하고 개인화된 맞춤형 AI 스크린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라며 "퍼플렉시티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사용자들이 대형 스크린을 더욱 새롭고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라이언 푸티(Ryan Foutty) 퍼플렉시티 사업개발 상무는 "우리의 사명은 기존 검색 방식에 혁신적인 AI 기반 인터페이스를 결합해 사용자의 호기심을 해결하는 것"이라며 "세계 1위 TV 브랜드인 삼성과의 협업을 통해 전 세계 삼성 기기 사용자들에게 퍼플렉시티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에서 개인 맞춤형 AI인 '비전 AI 컴패니언(Vision AI Companion)'을 처음 공개한 이후, 글로벌 AI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스크린 경험을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8월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을 2025년형 TV와 모니터에 탑재했으며 최근 퍼플렉시티까지 도입하게 됐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