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인도네시아가 한국산 라면 등 즉석면류에 대한 에틸렌옥사이드(EO) 관련 관리 강화 조치를 해제했습니다. 수출 절차가 간소해지면서 내년에는 인도네시아로 수출되는 K라면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인도네시아가 '즉석면류 식품안전 관리 강화 조치' 대상국에서 한국을 제외했습니다. 2022년 10월 강화조치 시행 이후 약 2년 만입니다. 한국산 라면은 이달 인도네시아 수출 선적 제품부터 시험·검사성적서 제출없이 신속한 통관이 가능합니다.
EO는 농산물 등의 훈증제, 살균제로 사용되며 국가별로 잔류기준 설정을 관리합니다. 앞서 인도네시아는 유럽연합(EU)으로 수출한 한국산 라면에서 EO로부터 생성될 수 있는 물질이 검출되자 2022년 10월부터 한국산 라면에 대해 EO검사를 강화하며 시험∙검사성적서 등의 제출을 요구해 왔습니다.
이후 식약처는 국내기업의 수출 장벽 해소를 위해 인도네시아 식품청에 즉석면류에 대한 관리강화 조치 해제를 지속적으로 요청했습니다. 지난 5월 인도네시아 식약청장과 한국 식약처장 양자 회의에서 강화조치 해제를 요청했고, 9월부터 양국 관계부서간 식품안전 논의를 이어간 결과 12월 1일부터 시험∙검사성적서 제출 의무가 해제됐습니다.
삼양식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규제외교를 통해 한국산 라면 등 즉석면류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에틸렌옥사이드(EO) 관련 시험∙검사성적서 요구 조치 해제를 이끌어낸 것에 대해 적극 환영한다는 입장을 전했습니다.
이날 삼양식품은 "식약처의 적극적인 규제외교 노력 덕분에 인도네시아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특히 에틸렌옥사이드 관련 관리 강화 조치가 해제되며 수출 절차가 간소화 되고 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면서 경쟁력이 크게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대 인도네시아 한국산 라면 수출금액은 2021년 1165만달러, 2022년 1413만달러에서 지난해는 850만달러(약 119억원)로 감소했습니다. 올해는 999만달러(약 140억원)를 기록 중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신라면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는 농심도 이번 식약처 성과를 바탕으로 현지 신라면 판매와 마케팅에 속도를 낼 방침입니다. 농심은 지난달 15일 자카르타 포스 블록에서 인도네시아 현지 MZ세대를 대상으로 신라면 브랜드를 알리기 위해 '신세이셔널 데이'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농심은 신세이셔널 데이 행사장에 신라면, 신라면볶음면, 신라면김치 대형 모형과 함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포토존을 구축했습니다. 또 신브랜드 제품을 시식할 수 있는 취식존, 라면 먹방 챌린지를 통해 현지 소비자와 소통을 강화했습니다.
앞서 농심은 지난 9월 28일과 29일 이틀간 자카르타 타만 리터라시 블록 M에서도 같은 행사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두 장소 모두 다양한 문화와 예술을 즐길 수 있는 복합 공간으로, 특히 현지 젊은이들이 즐겨 찾는 명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농심 관계자는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경제의 핵심 축으로 특히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즉석면류 시장을 가지고 있다"며 "내년에는 식약처의 인도네시아 비관세 장벽 해소 성과에 힘입어 신라면 툼바, 똠얌 등 경쟁력 있는 신제품을 통해 현지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