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일본 투자를 확대할 의지를 드러내며 한국과 일본이 인공지능(AI)·반도체 분야 협력을 비롯, 경제공동체 구축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최 회장은 22일 요미우리신문 인터뷰에서 "AI가 확산하며 데이터센터 등 반도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라며 "이 분야에 강점을 지닌 한국과 일본에 큰 성장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SK는 이미 일본 NTT의 차세대 통신 인프라 'IOWN'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최 회장은 "일본에 대한 투자 의지는 분명하다"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미국의 관세 정책 등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줄어들 필요가 있다"라며 투자 결정에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유럽연합(EU)을 예로 들며 한일 경제공동체 구축이 국제사회에서 발언력 강화를 위한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무역만으로는 양국이 함께 성장하기 어렵다며 "사회적 비용과 경제안보 비용을 줄이고 국제사회에서 표준을 주도하는 룰 세터(rule setter)가 되는 등 시너지가 생긴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미국, EU, 중국에 이어 세계 4위 경제권으로 도약할 수 있다"라고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가입을 검토 중인 일본 주도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에 대해서는 "그것도 좋지만 EU 같은 완전한 경제통합 연대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23일,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 일본 총리는 정상회담을 통해 AI 등 미래산업 분야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최 회장은 이에 대해 "민간 차원 협력이 국가 차원으로 발전할 수 있다"라며 한일 기업 간 협력 기회를 적극 모색할 필요성을 언급했습니다.
다음 달 말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최 회장이 회장을 맡고 있는 대한상공회의소는 참가국 최고경영자(CEO) 서밋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최 회장은 "한일 기업인들이 한자리에 모여 미래 협력을 논의하는 회의 개최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요미우리신문은 중국의 경제적 압박이 강화되는 가운데 한일 협력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에너지와 핵심물자 공급망 강화는 한미일 안보 협력을 뒷받침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신뢰 구축을 위한 역사·영토 문제 해소가 전제돼야 한다는 점도 함께 지적했습니다.
한편, 최 회장은 AI 반도체 시장에 대한 개인적 견해도 밝혔습니다. 그는 "고대역폭메메모리(HBM)만 보며 AI의 세계를 말할 수 없다"라며 AI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하는 메모리를 총칭해 'AI 반도체'라고 정의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또 "현재 대화형 AI 서비스가 (인간이 개입하지 않는 자율형) 에이전트 단계로 진화하면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고 AI 생태계 활동도 늘어날 것"이라며 "HBM뿐 아니라 AI 액셀러레이터 시장도 확대될 것이고, AI 데이터센터 투자도 더 확대될 것"이라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SK가 투자한 일본의 낸드플래시 생산업체 키옥시아와의 협업 의지도 드러냈습니다. 최 회장은 "지금은 미국 투자펀드 베인캐피털을 통해 간접 출자하는 상황이라 직접 이야기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면서도 "키옥시아가 일본 증시 상장도 잘 돼 기업 가치가 오르고 있어 구도가 바뀌면 좀 더 심도 있는 이야기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