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교촌에프앤비가 지난해 매출총이익 마진을 개선하며 영업이익을 3배 늘렸습니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연결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이 249억원으로 전년(88억원) 대비 181.9% 증가했다고 7일 공시했습니다. 지난해 매출은 4450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감소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128억원으로 158.6% 늘었습니다. 내실경영을 통해 영업이익을 회복하면서도 영업이익률은 한 자릿수(약 5.6%)를 유지했습니다. 지난해 점포당 매출은 치킨 프렌차이즈업계 최고 수준인 7억5000만원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교촌에프앤비 측은 전망했습니다. 교촌에프앤비에 따르면 매년 0%대의 점포 폐점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창립 이후 가맹점 영업상권 보호를 우선으로 한 경영을 펼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교촌에프앤비 관계자는 "올해는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메밀단편’과 같은 신사업으로 보폭을 넓힐 것"이라며 "매출과 이익,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다는 방침"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KT&G[033780]가 3대 핵심 사업 성장세에 힘입어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 기록을 작성했습니다. KT&G는 연결 기준 2023년 매출이 5조8724억원으로 전년 대비 0.4% 증가했다고 7일 공시했습니다. 영업이익은 1조1679억원으로 전년보다 7.9% 감소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9266억으로 전년 대비 7.8% 줄었습니다. KT&G 측은 수원사업 등 대규모 부동산 사업 종료로 연간 영업이익 1805억원에서 705억원으로 95.8% 줄어들면서 영업이익이 일시적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4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1조4512억원, 영업이익은 1986억원입니다. 전년 대비 매출은 3.2% 늘었고 영업이익은 1.4% 줄었습니다. 특히 3대 핵심사업 중 하나인 해외궐련 사업부문의 연간 매출이 1조1394억원으로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연간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해외궐련을 포함한 NGP(전자담배)·건기식 등 3대 핵심사업의 연간 매출은 전년대비 1.1% 증가한 3조3127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국내외 NGP 사업부문의 견조한 매출수량 증가세도 지속됐습니다. 연간 해외 스틱 매출수량은 82억4000만 개비, 국내 스틱 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삼성중공업[010140]이 선가 회복 시기 수주한 선박의 건조 등에 힘입어 9년 만에 연간 영업이익 흑자 달성에 성공했습니다. 7일 삼성중공업이 공시한 지난 2023년 연간 연결기준 잠정실적에 따르면, 매출 8조94억원, 영업이익 233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인 2022년 대비 매출은 34.7%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습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선가 회복 시기에 수주한 선박의 건조 척수 및 물량 증가가 실적에 본격 기여한 점이 영업이익 호전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번 흑자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올해부터 LNG운반선 및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설비) 등의 매출이 늘면서 수익성 개선 폭이 더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매출 9조7000억원, 영업이익 4000억원을 실적 전망으로 제시했습니다. 조선·해양 수주 목표는 97억달러로 지난해 실적 83억 달러 대비 16.9% 높게 설정했습니다. 올해는 LNG운반선 및 FLNG에 대한 강한 시장 수요 지속, LPG 및 암모니아 수요 확대에 따른 가스운반선 발주 증가, 친환경선박 기술을 적용한 컨테이너선 및 유조선으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BGF리테일[027410]이 지난해 처음으로 매출 8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차별화 상품과 저가 PB(자체 브랜드) 상품이 손님들을 불러모았습니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이 8조1948억원으로 전년 대비 7.6% 증가했다고 7일 공시했습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2532억원으로 0.3%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의 경우 매출이 4.7% 늘어난 2조40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511억원으로 전년 대비 2.3% 줄었습니다. BGF리테일은 지난해 우량점 중심의 개점 전략을 펼쳤습니다. 점포수는 2022년 1만6787개에서 지난해 1만7762개로 1년 사이 975개 증가했습니다. 연세우유 크림빵으로 대표되는 차별화 상품이 인기를 끌었고 고물가 시대에 맞춰 내놓은 초저가 상품 '득템 시리즈' 등이 매출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상품 회전율을 높이는 운영 전략도 기존점의 매출 상승을 도모했다는 평가입니다. BGF리테일 관계자는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사상 처음 매출액이 8조원을 넘는 실적을 기록했다"며 "올해도 점포 경쟁력 강화, 상품 및 마케팅 혁신, 고객 경험 차별화 등을 중심으로 사업 경쟁력을 강화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LG화학[051910]이 북미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자 미국 1위 자동차 기업인 제너럴 모터스(GM)와 25조원의 대규모 양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등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7일 LG화학에 따르면, 이날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GM과 양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에 따라 LG화학은 오는 2035년까지 최소 24조7500억원 규모의 양극재를 GM에 공급합니다. 양사가 거래할 양극재 물량은 50만톤 이상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양극재 50만톤은 고성능 순수 전기차(EV, 500km 주행 가능) 약 500만대분의 배터리제조가 가능한 양입니다. 이번 계약에 앞서 지난 2022년 7월 양극재 장기 공급을 목적으로 포괄적으로 합의한 양사는 이번 공급계약으로 협력을 강화하며 합의물량 일부를 구체화했습니다. LG화학은 테네시 양극재 공장이 본격적으로 가동하는 오는 2026년부터 GM에 북미산 양극재를 공급할 예정입니다. 테네시 공장은 지난해 12월 착공했으며 연간 6만톤의 생산 능력을 갖춘 공장으로 지어집니다. 테네시 공장에서 생산한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양극재는 주로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합작법인 얼티엄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현대백화점[069960]이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줄었습니다. 현대백화점은 연결 기준 지난해 매출이 4조2075억원으로 전년 대비 16.1% 감소했다고 7일 공시했습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3035억원으로 5.4% 감소했습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1조1353억원으로 전년보다 28.3%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39.9% 신장한 96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백화점 사업 매출은 2조4026억원으로 전년 대비 4.9% 증가했습니다. 백화점 매출은 2년 연속 역대 최대치를 갱신했습니다. 명품, 영패션, 스포츠, 화장품, 식품 매출이 호조를 보였습니다. 인건비와 수도광열비, 감가상각비 등 고정비가 늘면서 영업이익은 6.0% 감소한 3562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4분기 매출은 6556억원으로 패션, 식품, 리빙, 명품 상품군이 9.8% 신장을 이끌었습니다. 영업이익은 1199억원으로 전년 대비 26.9% 늘었습니다. 면세점은 다이공 매출 감소에 1년 사이 매출이 반토막났습니다. 지난해 면세점 매출은 9978억원으로 전년보다 55.8% 감소했습니다. 영업손실은 313억원으로 공항점 매출 호조 등 수익성 개선 영향으로 적자 폭을 줄였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금융위원회가 올해 부위원장 주관의 '미래대응금융TF'를 가동합니다.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 기후위기, 첨단 디지털기술을 3가지 거대한 변화로 규정하고 체계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입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7일 금융발전심의회 전체회의에서 "인구구조 변화, 기후변화, 기술도약이라는 3가지 흐름은 전세계와 우리경제에 광범위하고 강력한 영향을 줄 것"이라며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는 TF를 운영해 3가지 변화가 금융에 주는 영향을 정밀분석하고 대응방향을 수립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 위원장은 "우리나라는 세계 최저수준 출산율로 생산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 중이고 기후변화 관련 글로벌 규제는 제조업과 수출중심 한국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며 "기술 측면에서는 AI·블록체인·빅데이터 등 과거와 완전히 다른 기술이 경제·산업·시장 전반에 파고들어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미래대응금융TF는 인구분야에서 젊은층의 자산형성·고령층의 노후대비, 기후분야에서는 글로벌 규제에 대응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 확충·저탄소공정으로 전환, 기술분야에선 AI·가상자산·빅테크 등 규율체계 정립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김 위원장은 "거대한 변화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포스코이앤씨는 7일 인하대학교와 '저탄소 철강 수소환원제철 연구·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수소환원제철은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사용해 철을 생산하는 기술로 탄소배출을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포스코이앤씨는 포스코그룹의 '2050 탄소중립 실현'과 오는 2027년 준공 예정인 30만톤 수소환원제철 시험설비 건설에 기여하고자 유럽형 수소환원제철 연구경험을 보유한 인하대학교와 다양한 기술협력을 진행 중입니다. 업무협약에 따라 양측은 연구개발·기술자문 등 협력체제를 확립하고, 인하대 저탄소 철강분야 전공 프로그램 교육과정 자문 등을 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수소환원제철 사업화·해외진출 및 수소환원제철 교육·연구 등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이은상 인하대학교 수소시스템 융합연구소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포스코이앤씨와 다양한 형태의 산학협력을 펼치면서 철강산업 분야의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최종문 포스코이앤씨 R&D센터장은 "수소환원제철은 포스코그룹의 필수 사업인 만큼 주도적인 사업수행을 위해 인하대의 우수한 연구진과 협업하여 수소환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올해 서울 강남 첫 분양으로 주목받은 '메이플자이'가 청약 잭팟을 터뜨렸습니다. 중소형 전용 타입만 분양 물량으로 나왔음에도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시세 대비 저렴한 강남단지라는 결정적 메리트가 작용하며 일반청약 건수만 3만5000건을 넘겼습니다. 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GS건설이 서초구 신반포4지구를 재건축해 공급한 '메이플자이'가 지난 6일 진행된 1순위 일반청약에서 81가구 모집에 3만5828건의 청약 통장 접수건을 기록하며 평균 442.3대 1의 높은 경쟁률로 청약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이에 따라 '메이플자이'는 올해 새해 시작점부터 지난해 서울 일반청약 최고 경쟁률 기록을 크게 넘어서게 됐습니다. 지난해 서울 일반청약 최고 경쟁률은 평균 24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동대문구 청량리7구역 재개발 단지인 '청량리 롯데캐슬 하이루체'였는데 당시 88가구 모집에 2만1322건의 청약 통장이 접수됐습니다. 접수건수와 경쟁률 모두 2배에 가까운 차이를 보이며 '강남권'의 위력을 실감하게 했습니다. 타입 최고 경쟁률은 1가구 만을 모집한 59㎡A에서 나왔습니다. 1가구 모집에 3574건의 청약 통장 접수건수를 기록하며 35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신세계[004170]가 지난해 영업이익이 주춤한 가운데 서울 강남점과 부산 센텀시티 등 주력 백화점 점포들의 매출 확대에 힘입어 백화점 사업 최대 매출을 올렸습니다. 신세계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6조3571억원, 영업이익 6398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습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18.6%, 0.9% 감소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3025억원으로 전년보다 44.8% 줄었습니다. 지난해 4분기는 외형 축소에도 수익성을 강화했습니다. 신세계 4분기 매출은 1조7203억원으로 22.3% 줄었고 영업이익이 2060억원으로 45.7% 신장했습니다. 면세 할인 구조가 바뀐 영향으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시장 컨센서스(전망치 평균)인 1822억원을 상회했습니다. 본업인 백화점은 덩치를 더욱 키웠습니다. 지난해 백화점 사업 매출은 2조5570억원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하며 역대 매출 기록을 썼습니다. 영업이익은 4399억원으로 12.4% 감소했습니다. 백화점 4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5.2% 신장한 7034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물가 상승 여파에 관리비·판촉비가 동반 상승하며 4분기 영업이익은 1447억원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코스피가 상승 마감하며 3거래일 만에 2600선을 회복했다. 대표적인 저PBR 종목으로 꼽히는 보험, 금융, 유통, 지주사, 자동차 관련주의 강세가 이어졌고 이차전지에도 저가 매수세가 유입됐다. 현대차는 4% 상승하며 52주 신고가를 또다시 갈아치웠다. 7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 오른 2609.58에 거래를 마쳤다. 0.64% 상승 출발한 지수는 장중 1.9%까지 올랐지만 오후 들어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장을 주도했던 금융, 자동차, 지주 포함 저PBR 업종 상승이 재개됐다"며 "상대적으로 약세였던 이차전지 밸류체인까지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강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수급적으로는 외국인이 5362억원, 기관이 6258억원 순매수했고 개인이 1조1367억원 순매도했다. 미국 1월 고용지표 호조와 금리 인하 지연으로 이틀 연속 상승하던 미국채 금리가 간밤 하락하자 외국인이 선물시장에서 1조원대 순매수에 나서는 모습을 보였다. 업종별로는 상승 우위의 흐름인 가운데 보험주가 두드러졌다. 한화손해보험 6.3%, 롯데손해보험 5.5%, 삼성생명 5.1% 상승 마감했다. 지주사의 강세도 이어졌다.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KG모빌리티(이하 KGM)[003620]는 2023년 판매 우수 대리점 시상과 함께 대리점 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고 7일 밝혔습니다. KGM에 따르면, 행사에는 정용원 KGM 대표이사와 김광호 KGM 국내사업본부 본부장을 비롯한 관련 임직원들과 판매 우수 대리점 대표들이 참석했습니다. 간담회에서는 판매 대리점 대표들과 올해 출시될 제품 계획과 마케팅 전략 등 회사의 주요 전략 방향을 공유했습니다. 이와 함께, 현장의 애로 사항 청취, 판매 목표 달성을 위한 경쟁력 확보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정용원 KGM 대표이사는 "지난해 소비 심리 위축 등 시장 악화 상황에서도 판매 시장 및 고객 관리에 만전을 기해 최상의 성과를 이뤄낸 대리점 대표들에게 감사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KGM은 올해를 백년대계를 위한 도약의 원년으로 삼고 판매 목표 달성을 위해 신차는 물론 다양한 제품 개선 모델 출시와 함께 고객케어서비스 확대 등 시장 대응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판매 대리점 대표들은 "올해 어려운 시장 상황이 예상되는 만큼 토레스 EVX와 렉스턴 스포츠&칸 등 기존 모델은 물론
인더뉴스 편집국ㅣ▲ 이종성씨 별세, 이경호(두산그룹 커뮤니케이션실 수석)씨 부친상 = 7일, 강원 춘천시 강원대학교병원장례식장 7호실, 발인 9일 오전 8시, 장지 춘천 안식원. 033-254-5611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오리온은 지난해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923억원으로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고 7일 공시했습니다. 지난해 매출은 2조9124억원으로 전년보다 1.4% 증가했습니다. 세전이익은 6.8% 증가한 5200억원으로 사상 최대 이익을 달성했습니다. 매출은 중국과 베트남의 최대 명절인 춘절과 뗏의 시점 차이에 따른 역기저효과와 중국 위안화 약세 및 러시아 루블화 가치 폭락에도 제품 경쟁력 강화와 적극적인 영업활동, 생산설비 확대로 시장 수요에 대응하며 선방했습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에도 원료공급선 다변화, 글로벌 통합구매 등 제조원가 관리를 통해 영업이익을 끌어올렸습니다. 영업이익률은 16.9%를 기록하며 0.7%p 상승했습니다. 주주가치 증대 차원에서 주당 배당금도 기존 950원에서 1250원으로 31.6% 늘리기로 결정했습니다. 한국 법인은 사상 처음으로 매출 1조원을 넘어섰습니다. 매출은 13.9% 늘어난 1조700억원, 영업이익은 20.4% 증가한 1688억원을 기록하며 그룹 전체의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중국 법인은 춘절 시점 차이에 따른 영향과 위안화 약세 등으로 매출은 7.5% 감소한 1조1789억원으로…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인공지능(AI) 플랫폼 전문기업 와이즈에이아이는 특허출원 및 등록 전문 기관인 '특허법인 메이저'와 AI 솔루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와이즈에이아이는 이번 계약을 통해 AI 고객센터 공급 영역을 일반 전문직 분야로 확대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특허법인 메이저는 대기업을 비롯해 다양한 학술기관의 국내외 특허 등록과 심판, 소송 등 관련 업무를 전문으로 하는 특허법률사무소로 알려졌다. 향후 특허법인 메이저에 맞춤화된 AI 고객 응대 솔루션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AI가 24시간 365일 고객을 응대하는 'AI 콜(인바운드)'을 시작으로 'AI 챗봇', 'AI 인터넷전화 서비스' 등이 순차적 도입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송형석 와이즈에이아이 대표는 "기존 의료 영역을 넘어 일반 산업 분야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한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해당 업체에 솔루션 구축이 완료되면 AI가 특허 등록을 위한 기초적인 안내, 상담, 예약 등을 모두 처리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공 중인 AI 솔루션의 보급 영역을 더욱 확대하고 수익 모델을 다각화하기 위해 앞으로도 B2C(개인)·B2B(기업) 고객 대상의 서비스를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의 갤럭시 신제품 '갤럭시 Z폴드 스페셜 에디션(SE)'가 1차에 이어 2차 판매에서도 완판을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는 4일 오전 10시부터 삼성닷컴에서 갤럭시 Z폴드 SE의 2차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2차 판매에 준비됐던 물량은 판매 5분 만에 모두 소진됐습니다. 이동통신 3사 공식 온라인 몰에서도 같은 시각 판매를 재개했으며 통신사에 배정된 제품 물량도 모두 소진됐습니다. 해당 제품은 지난달 25일 오전 9시부터 첫 판매 예정이었으나 예정보다 7시간 지연된 오후 4시부터 제품 판매가 시작됐습니다. 삼성전자가 출시 예정 시간을 어긴 것은 이례적이며 삼성전자는 물량 파악에 시간이 소요돼 판매가 지연됐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제품은 판매 개시 10분 만에 완판됐습니다. 이후 재고 부족으로 이동통신 3사 온라인 몰에서는 판매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삼성전자와 통신업계는 2차 판매에서도 완판을 기록하자 추가 판매를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삼성전자는 1차 판매에서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가 기존 배송 일정보다 빠른 이번 주 안으로 수령할 수 있을 것이라 전했습니다. 삼성닷컴은 1차 판매 당시 "제품이 11월 8일부터 순차 배송될 것"이라고 안내한 바 있습니다. 갤럭시 Z 폴드 SE는 두께와 무게가 각각 10.6㎜, 236g으로 역대 갤럭시 Z폴드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볍습니다. 이는 '갤럭시 Z폴드6'보다 1.5㎜ 얇고 3g 가벼운 스펙으로 2억화소 카메라와 16GB 메모리를 탑재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곽노정 SK하이닉스[000660] 사장이 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4'에서 16단 HBM3E 제품 개발을 처음으로 공식화했습니다. 곽 사장은 '차세대 AI 메모리의 새로운 여정, 하드웨어를 넘어 일상으로'를 주제로 한 기조 연설에서 36GB 용량의 12단 HBM3E(3GB D램 단품 칩 12개 적층)를 뛰어 넘는 대용량 HBM 제품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이번에 공개한 HBM3E 16단 제품은 현존 최대 용량인 48GB의 용량을 가졌으며 기존 12단을 넘어선 HBM3E 최고층 제품입니다. 곽 사장은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릴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비해 당사는 기술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48GB 16단 HBM3E를 개발 중이며 내년 초 고객에게 샘플을 제공할 예정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16단 HBM3E를 생산하기 위해 12단 제품에서 양산 경쟁력이 입증된 어드밴스드(Advanced) MR-MUF 공정과 백업 공정으로써 하이브리드 본딩(Hybrid bonding) 기술도 함께 개발해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서 "16단 HBM3E는 내부 분석 결과 12단 제품 대비 학습 분야에서 18%, 추론 분야에서는 32% 성능이 향상됐다"며 "향후 추론을 위한 AI 가속기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16단 HBM3E는 향후 AI 메모리 No.1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해줄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곽 사장은 최태원 SK 회장, 유영상 SK텔레콤 CEO 등 SK그룹 최고경영진과 주요 빅테크, AI 업계 유력인사들이 참석한 이날 행사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메모리의 개념 변화를 설명하고 SK하이닉스의 기술력과 제품을 소개했습니다. 그는 "고객과 파트너, 이해관계자들과 긴밀히 협력해 '풀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Full Stack AI Memory Provider)'로 성장하겠다"고 미래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풀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는 D램과 낸드 플래시 등 전 영역에서 AI 메모리 제품 라인업을 갖추었다는 의미로 풀이됩니다. 곽 사장은 "챗GPT의 등장을 기점으로 데이터 간 연결성은 AI 시대를 가속화하는 핵심 요소가 됐다"며 "현재의 메모리는 '연결된 메모리(Connected Memory)'라고 정의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앞으로 본격화될 AI 시대에는 메모리가 '창의'와 '경험'으로 확장된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라며 "이것이 SK하이닉스가 내다보는 미래의 '창의적 메모리(Creative Memory)'이고 이런 변화는 강력한 컴퓨팅 파워를 지원하는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없이는 실현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곽 사장은 AI 시대를 준비하는 제품과 기술력에 대해서는 ▲세계 최초로 개발, 양산하고 있는 '월드 퍼스트(World First)'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비욘드 베스트(Beyond Best)' ▲시스템 최적화를 위한 '옵티멀 이노베이션(Optimal Innovation)' 제품 등 세 가지를 제시했습니다. 월드 퍼스트 분야는 앞서 제시한 48GB 16단 HBM3E에 적용되는 어드밴스드(Advanced) MR-MUF, 하이브리드 본딩(Hybrid bonding) 기술을 자세히 소개했습니다. 비욘드 베스트는 저전력 고성능을 강점으로, 향후 PC와 데이터센터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는 LPCAMM2 모듈, 1cnm 기반 LPDDR5와 LPDDR6, 낸드에서 PCIe 6세대 SSD와 고용량 QLC 기반 eSSD, UFS 5.0을 제시했습니다. 또 차세대인 HBM4부터 베이스 다이에 로직 공정을 도입해 글로벌 1위 파운드리 협력사와의 원팀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SK하이닉스는 차세대 HBM4 제품은 내년 하반기 중 양산·출하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옵티멀 이노베이션 분야에서는 용량과 대역폭, 부가 기능 등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해 성능을 최적화한 커스텀(Custom) HBM 제품을 제시했습니다. 곽 사장은 끝으로 "'World First, Beyond Best, Optimal Innovation' 세 방향성을 미래 발전의 가이드라인으로 삼고 고객과 파트너, 이해관계자들과의 긴밀한 다중 협력을 통해 '풀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를 목표로 지속 성장하겠다"며 "SK하이닉스는 AI 시대에 전 영역에 걸친 AI 메모리 솔루션 라인업을 갖춤으로써 새로운 미래를 창조해 갈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김홍식 기자ㅣ'메모리 반도체 VS 비(Non)메모리 반도체'에서 ‘AI 반도체 VS 비AI 반도체’ 시대로. 격변하는 최근 반도체 시장 변화를 두고 전하는 전문가들의 진단입니다. 어디서부터 이런 변화가 시작됐을까요? 왜 엔비디아·TSMC·SK하이닉스는 사장 최고 실적을, 인텔·ASML·삼성전자는 최악의 실적을 보이는 걸까요? 표준화와 미세공정 →맞춤형과 패키징 시대로 변혁 2000년대 초반에 등장한 12인치(300㎜) 웨이퍼는 약 25년이 된 현재에도 주력 제품입니다. 1980년대 본격 개화한 8인치(200㎜) 웨이퍼가 20년가량 주력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12인치 이상의 차세대 제품이 등장할 시기이기지만 현재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웨이퍼의 크기는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결정합니다. 동일한 리소그래피(lithography, 미세공정 기술) 적용을 기준으로 웨이퍼의 크기가 클수록 단위 면적당 생산량은 당연히 늘어나게 됩니다. 업체별 생산량과 수율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반도체 회로설계의 패턴형성을 위한 미세회로 공정 기술, 리소그래피입니다. 여기에 가장 특화된 기업이 인텔이었습니다. 인텔은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설계와 리소그래피 기술로 시장을 장악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2000년대 초 0.12㎛(마이크론, 10⁻⁶m )의 미세회로 공정으로 12인치 웨어퍼 시대를 열었습니다. 현재는 나노(10⁻⁹m)의 시대이지만 12인치 웨이퍼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웨이퍼의 세대교체를 위해서는 전공정 장비의 전면 교체가 필수입니다. 대규모 투자를 필요로 하는데 반도체 업계는 이를 감당할 상황이 아닙니다. 더 미세한 공정 기술을 도입해 칩의 생산량과 수율을 높이는 게 반도체 업체 기술력을 좌우했던 시기입니다. 웨이퍼 크기의 변화 없이 현재의 미세공정 기술만으로는 고속의 대용량을 요구하는 AI 반도체 시장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입니다. 세계 최대 미세공정 장비 업체인 ASML의 실적 악화가 이를 대변합니다. 또 다른 하나는 표준화에 대한 논란입니다. 50년을 지탱해 온 인텔 아키텍처는 메모리 반도체의 스펙까지 결정했습니다. CPU와 메모리 반도체, 주변기기 간의 신호를 각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경로인 데이터 입출력(I/O) 버스(BUS) 규격을 인텔 주도로 결정했습니다. CPU의 스펙이 결정되면 메모리반도체가 그 뒤를 이어 표준화가 이뤄졌습니다. 현재 표준화 메모리반도체인 DDR SD램 역시 인텔 아키텍처 기반 하에 2000년대 초반부터 주력으로 부상했습니다. 이러한 표준화에 기반한 반도체 시장이 AI 시대 도래와 함께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됩니다. 수요 시장에서 변화가 가장 큰 요인입니다. PC·서버·모바일 등 반도체 3대 수요처는 여전하지만 상당한 변화가 시작됐습니다. 모바일에서 설계 전문업체인 영국 ARM의 'Strong ARM'의 강세와 애플의 등장은 반도체 시장의 1차 지각변동이었습니다. AI가 불러온 대변화…DC와 클라우드 시대 본격적인 반도체 대변혁은 AI(인공지능) 등장에 따른 데이터센터(DC)와 클라우드 시장입니다. 이 시장에 엔비디아와 HBM(고대역메모리)이 주력으로 급부상합니다. 대용량, 고속의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AI는 표준화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자신만의 특화된 구조와 설계에 맞는 '맞춤형'을 요구합니다. AI를 주도하는 빅테크 업체들은 자신만의 특화된 데이터센터 구축을 원합니다. 경쟁사에 자신들의 표준 기술을 따르라고 요구하지 않습니다. 자사만의 고유한 DC를 구축하고 플랫폼은 오픈형을 추구합니다. 최근의 주력 메모리반도체인 HBM도 마찬가지입니다. HBM을 구성하는 메모리반도체는 DDR SD램과 같은 범용 제품이 아닙니다. 엔비디아가 요구하는 스펙을 충족하는 메모리반도체이지, 전 세계 모든 메모리반도체 업체들이 표준에 맞춰 생산하는 제품이 아닙니다. 엔비디아는 세계표준을 제시하지 않습니다. 엔비디아 제품을 사용하는 빅테크, AI 업체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자신이 원하는 성능만 나오게 해달라 합니다. TSMC, SK하이닉스는 그 요구를 가장 잘 충족시키는 파트너로 부상하고 이들이 현재의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AI의 등장은 메모리반도체 용량 확대 방법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불러왔습니다. 고속의 대용량 메모리는 반도체 업체의 영원한 과제입니다. 이를 미세회로 공정과 웨이퍼 자체의 적층 기술로 극복해 왔습니다. AI의 등장은 웨이퍼 단위의 기술만으로 엄청난 양의 데이터 처리에 대응하는 데 한계에 도달함을 알렸습니다. 대안으로 등장하는 것이 반도체 후공정 기술인 패키징입니다. 패키징은 단순화하면 웨이퍼에서 생산된 반도체 소자의 집합체인 모듈의 연결 기술입니다. 패키징은 전공정에 비해 기술적으로 크게 어렵지 않다는 평가를 받아 왔으나 HBM은 이런 통념을 깨고 있습니다. HBM은 자동차와 비교하면 두 개의 엔진을 다는 것입니다. 자동차의 성능 향상에는 엔진의 출력 향상과 배기량 확대가 중요 요소입니다. 메모리업체들은 그동안 한 개의 반도체 모듈로, 즉 한 개의 엔진으로 이를 극복해왔는데 HBM은 두 개 이상의 엔진을 달게 되는 것입니다. 패키징이 반도체 시장에서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이유입니다. 이강욱 SK하이닉스 패키징 개발 담당 부사장은 지난 24일 반도체대전(SEDEX 2024)에서 "HBM 비즈니스의 전환점은 패키징이고 반도체 후공정 패키징이 혁신의 최전선"이라며 "여러 가지 새로운 쌓는(stack)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는 또 "기존에는 반도체가 디자인, 팹 소자, 패키징 등 기술의 덧셈이었다면 지금은 곱셈으로 바뀌었다"며 "패키징 기술이 없으면 비즈니스 기회를 얻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SK하이닉스는 어떻게 맞춤형과 패키징 시대를 대비하고 HBM 시장을 주도하게 됐을까요? [격변의 반도체시장]① 절대 호황도 절대 불황도 없다 [격변의 반도체시장]③ SK하이닉스, 결단과 뚝심으로 만들어낸 반도체 1위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쇼핑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옴니버스 채널화가 점점 더 빨라진다. 온라인·오프라인 채널의 경계가 무너지는 시기에 어떻게 살아남을까 하는 관점에서 전형적인 미국식 쇼핑몰이 아니라, 백화점과 쇼핑몰을 어떻게 결합시키느냐 하는 것이 타임빌라스 수원의 가장 큰 목표였다." 롯데백화점이 새로운 쇼핑몰 비즈니스 '타임빌라스' 사업을 본격 확대합니다. 잠실과 베트남에서 쇼핑몰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한 롯데백화점은 타임빌라스를 유통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필연적으로 다가올 '쇼핑몰의 시대'를 준비한다는 구상입니다. 2030년까지 쇼핑몰 시장 1위 달성을 위해 7조원을 투자합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23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타임빌라스 중장기 성장 전략과 비전을 발표했습니다. 이날 정준호 롯데백화점 대표는 주 소비층으로 부상한 MZ세대의 특성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국내 리테일에서 쇼핑몰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타임빌라스 수원은 롯데백화점이 그리는 미래형 쇼핑몰 사업의 첫 번째 결과물입니다. 지난 5월 롯데몰 수원점에서 명칭을 변경하며 백화점과 쇼핑몰의 강점을 결합한 '컨버전스형 쇼핑몰'을 정체성을 잡았습니다. 기존 면적의 약 70%를 바꾸는 롯데백화점 최대 규모의 리뉴얼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롯데백화점은 쇼핑몰이 향후 국내 리테일 산업의 주축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재 MZ세대의 주축인 2535 젊은 세대 수요와 선호가 높은 체험형 매장, 대형 이벤트 등이 최적화돼 있고 유연한 변화와 시도가 가능한 '플렉서블 리테일 플랫폼'이라는 점을 쇼핑몰만의 강점을 꼽았습니다. 정준호 대표는 “90년대 이후 일본 리테일 성장을 주도하는 건 쇼핑몰 사업이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소비 주체인 MZ세대가 원하는 쇼핑 환경이라는 관점에서 봤을 때 쇼핑몰 사업 성장성을 높게 보고 있다”며 2030년까지 국내 백화점은 매년 2% 성장하는 반면 쇼핑몰은 17%의 성장이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롯데는 먼저 잠실에서 쇼핑몰 사업의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2014년 문을 연 롯데월드몰은 롯데백화점이 2021년부터 본격 운영을 시작한 이후 매년 25%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K패션과 글로벌 F&B, 팝업 등을 적극 유치한 결과 매년 연간 5500만명이 방문하는 롯데의 대표 쇼핑몰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해외에서는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가 쇼핑몰 사업의 가늠자 역할을 했습니다. 지난해 9월 오픈한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는 개점 4개월 만에 매출 1000억원을 돌파했고 올해 연말까지 매출 3000억원 달성이 점쳐집니다. 지난달 누적 방문객이 1000만명을 넘어서는 등 현지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쇼핑몰 확장을 위한 해결과제는 분명했습니다. 회사에 따르면 도심 근교 4만9586㎡ (약 1만5000평) 규모 쇼핑몰 개발 시 투자비 규모는 7500억원 수준으로 2013년 대비 80% 증가했습니다. 주요 건설 자재인 철근이 33%, 인건비가 77% 늘었습니다. 지자체와의 인허가, 인근 재래시장과의 상생 문제와 함께 쇼핑몰에 적합한 브랜드를 유치하는 데에 따른 어려움도 존재했습니다. 이에 롯데백화점은 10여년 전부터 백화점, 아울렛 사업을 위해 확보해온 송도, 대구 수성 등 9개 대규모 부지를 쇼핑몰 사업 부지로 전환했습니다. 지자체와 오랜 기간 공동 추진한 사업으로 인허가가 상대적으로 용이했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타임빌라스 수원 전환 이후 매출 등에서 확인한 긍정적인 지표들은 롯데백화점에 쇼핑몰 사업의 자신감을 심어줬습니다. 5월 롯데몰에서 타임빌라스 수원 전환 이후 신규고객 매출이 전년 대비 40% 늘었고 수원 외 지역인 광역형 고객 매출은 20% 이상 늘었습니다. 우수 고객인 에비뉴엘 고객 1인당 매 또한 최대 90%까지 증가했습니다. 타임빌라스 수원은 지난해 11월 영 테넌트 새단장을 시작으로 12월 캠핑 및 직수입 아웃도어 확대, 올해 2월과 4월 각각 지역 최대 프리미엄 키즈, 스포츠관과 프리미엄 미식 공간인 다이닝 에비뉴를 조성했습니다. 5월에는 글로벌 패션 브랜드를 보강하고 6~8월에는 프리미엄 뷰티, 명품 등 럭셔리 컨텐츠를 차례로 선보였습니다. 타임빌라스는 수원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대합니다. 2030년까지 송도, 수성, 상암, 전주에 4개 신규 쇼핑몰을 세우고 군산, 수완 등 기존 아울렛 7개점은 증축 및 리뉴얼해 쇼핑몰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해외에서는 롯데몰 웨스트레이크 하노이의 성과를 바탕으로 신규 출점 및 위수탁 운영 등 다각도로 쇼핑몰 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롯데백화점은 앞으로 2030년까지 국내 쇼핑몰의 수를 13개로 늘리고 이를 통해 매출 6조6000억원을 달성한다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백화점 내 쇼핑몰 매출 구성비를 현재 1% 수준에서 최대 30%까지 끌어올리고, 국내 쇼핑몰 시장 점유율도 과반 이상을 달성해 쇼핑몰 1위 리테일러에 오른다는 계획입니다. 아울러 지자체 프로젝트로 개발되는 상업·업무지구 중심부에 조성되는 접근성과 세계적인 건축가들과의 협업을 통한 즐길거리 제공을 경쟁사와의 차별화 요소로 꼽았습니다. 특히 롯데그룹 자산과 연계한 쇼핑, 엔터테인먼트, 숙박 등 콘텐츠를 결합해 일본의 아자부다이힐즈를 연상케 하는 '멀티 콤플렉스'로 개발한다는 포부입니다. 정 대표는 "경쟁사의 경우 백화점과 쇼핑몰 공간이 분리돼 고객도 분리되지만, 타임빌라스는 여기가 백화점인지 쇼핑몰인지 고객이 인식하지 못하도록 만들었다. 예를 들면 바닥재가 백화점에서 쇼핑몰까지 이어지게 했다"며 "백화점과 쇼핑몰의 경계가 무너지는 형태의 쇼핑공간을 만들었다는 게 가장 큰 차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타임빌라스는 2535세대 고객이 더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많이 만들려고 한다. 레고는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라는 점에서 가장 큰 플래그십 매장을 수원점에 오픈했고, 호카 같은 경우 롯데월드몰과 수원몰이 가장 큰 매장을 가지고 있다"며 "그런 세밀한 차이가 차별화 포인트"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