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Global 글로벌

오인규 교수 “전세계 1억 명이 환호...한류는 유행 아닌 주류”

URL복사

Friday, May 31, 2019, 18:05:06

한-아세안센터 일본 간사이 외대 한류학교수 특강 “아세안 한류팬 1000만명”

 

인더뉴스 박명기 기자ㅣ “나는 한류체험 1세대다. 18년 전 예측한 ‘한류’ 소멸 주장은 틀렸다.”

 

한-아세안센터 아세안홀에서 ‘제21차 아세안 열린강좌 시리즈–아세안 토크’ 네 번째 강의가 30일 열렸다. 오인규 일본 간사이 외대 한류학교수가 ‘아세안에서의 한류’를 강의했다.

 

오 교수는 “한류는 유행이 아니다. 전세계 1억 명이 환호하는 한류는 이제 어엿한 주류다”며 “아세안 한류 팬클럽은 1000만 명이다. 그 중심이 베트남”이라고 말했다.

 

K-DRAMA, K-POP 등 한국 대중문화가 서양 주류로 진입한 것은 글로컬(Glocal)이다. 그는 “자메이카 ‘레게’와 인도의 영화 ‘발리우드’와 한국 문화 정도가 글로컬을 이뤄냈다”며 “제가 일본에 처음 갔을 때 한류가 이렇게 글로벌화할 것으로 될 줄 아무도 몰랐다”고 웃었다.

 

■ 지구촌이 한국대중문화에 빠졌을까 ‘한국한류학회’ 창립

 

오인규 교수는 2001년과 2002년 한일월드컵 이후 일본으로 넘어갔다. 18년 전에 ‘붉은악마’의 응원전을 보면서 처음으로 일본에서도 ‘한류’가 있다고 느꼈다.

 

이후 그는 '겨울연가' 욘사마 배용준 인기 등을 다시 생각하면서 ‘지구촌이 한국 대중문화에 빠졌을까’는 질문을 가졌다. 그는 2013년 한국한류학회를 창립했다. 당시 10개국이었지만 지금은 25개국에 지부를 갖고 있다.

 

당시 ‘한류’라는 것이 태동했지만 주위에서 학회를 만들면서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은 “‘한류’는 곧 없어질 것이다. 그런데 왜 그런 학회를 만드느냐였다. 지금은 그런 분은 없다”고 웃었다.

 

아닌 게 아니라 지금 한류는 일본뿐이 아니라 전세계 문화 콘텐츠로 사랑받고 있다. 한국 드라마(K-DRAMA)와 한국 가요(K-POP) 한국 대중문화는 글로벌에서 많은 팬덤을 거느리고 있다.

 

그는 “TV와 신문 등 한류에 대한 많은 담론이 많다. 하지만 제대로 아는 사람이 없다. 그래서 혼동이 있다. 그래서 좀 더 제대로 짚어봐야 한다. 특히 아세안에서 한류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도 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오인규 교수의 결론은 “한류는 유행이 아니고 주류가 되었다”는 것. “방탄소년단(BTS)을 언급할 때마다 비교되는 비틀즈의 멤버들은 아직도 살아있다. 40년간 돈도 많이 벌었다. 그들은 한때 유행이 아니라 주류다. 어느새 한류도 주류가 되었다.”

 

■ 글로벌 시대 고급문화가 아닌 대중문화 ‘한류’ 주류로 우뚝

 

그가 생각하는 ‘한류’는 대중문화다. 국악-창-한식 등 고급문화로 글로벌을 진출하면 절대로 성공하지 못한다. 모차르트나 피카소 등 서양 고급문화 벽을 넘어서야하는데 서양인의 눈과 이해를 이해시키는 것은 ‘낙타바늘구멍뚫기’다.

 

그는 “하지만 대중문화는 다르다. 비틀즈도 아일랜드 출신이다. 퀸도 영국인 출신이 아니다. 다 미국 시장에서 성공했다. 고급문화로는 어렵지만 대중문화로 성공했다”며 “한국의 경우도 처음 조용필 김연자 계은숙 등 일본 진출할 때 엔카로 나갔다. 이후 서태지와 아이들이 한글로 노래했다. 그렇게 K-POP, K-DRAMA로 진화되었다”고 맥락을 짚었다.

 

그러니까 ‘한류’는 글로컬(Glocal)이다.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과 합쳐진 개념이다.

 

“좀 더 들어가면 한류는 서양음악-드라마를 수입해 공부해 한국화(로컬라이징)에서 다시 해외 수출을 하는 것이다. 가령 ‘꽃보다 남자’는 일본 만화와 드라마가 원작이다. 한국에서 다시 만들어져 다시 일본에 진출했는데 더 좋은 평을 얻었다.”

 

실제 글로컬이 성공한 예들은 많지 않다. 그에 따르면 자메이카-인도-한국 등 3개국 정도가 글로컬에 성공한 나라다. 영국 식민지 국가였던 자메이카가 ‘레게’음악으로 영국 본토를 강타했다. 인도 발리우드(인도 영화산업, 할리우드 비유) 영화도 할리우드에 역수출했다. 그리고 한국의 ‘한류’가 도드라졌다.

 

그는 “한국은 태국 출신 닉쿤이 한국 아이돌 2PM으로 활동했다. ‘슈퍼맨’을 한국화한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는 서양에 역수출했다. 영화에서 서양 좀비를 한국화한 ‘부산행’, 뱀파이어의 한국 판 ‘도깨비’ 등 3개국 중에서도 한국이 글로컬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뒀다”고 말했다.

 

‘글로컬’한 것의 성공 요인은 ‘베끼기’다. 기본은 서양의 것이지만 거기에다 한국 것을 덧붙여 성공한 것이다. “대중문화는 특허도 없고 베끼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세계 ‘스시’ 식당의 주인의 70%가 한국인이고, 런던의 많은 한국 식당의 주인들이 중국인이다.”

 

■ 아세안 팬클럽 1000만명, 베트남-인도네시아-태국 등이 한류 본거지

 

외교부의 대사관 조사를 통해 한류학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전세계 한국 팬클럽(동호회)는 약 1억 명이다. 그리고 ‘한류’ 팬이 가장 많은 곳은 아세안 10개국이다. 특히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의 3개국이 많다.

 

그는 “성별로 보면 한류의 핵심은 여성이다. 제대로 통계가 잡힌 한류 7000만 명의 70%인 5000만 명이 여성이다. 아세안 팬들도 700만 명이 여성”이라는 분석했다.

 

그는 “대사관 조사의 한류 팬클럽 등록 팬 중 아세안의 한류팬은 1000만 명이다. 베트남과 태국이 각각 400만 명이 넘는다. 인도네시아는 2억 5000만명이나는 인구, 태국은 1인당 GDP가 3000달러를 넘는 경제성장, 베트남은 전쟁과 가난을 딛고 신흥 경제국가로 부상했다. 특히 그 중 베트남이 중심”이라고 말했다.

 

아세안7국가(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의 한류의 파급효과는 전 분야에 퍼지고 있다. 관광의 경우 3개국 팬과 필리핀이 추가된 ‘한류투어’가 활발하다. ‘성지’로 여기는 한국을 관광하는 ‘투어리즘’이 유행이다. 여성 팬이 한류 로열층을 형성한다.

 

그는 “과거 아세안은 일본에 매료되었다. 하지만 이제 새 콘텐츠로 한국 ‘한류’를 찾아냈다. 이 나라들에서는 과거 한국을 잘 몰랐다. 주로 일본 대중문화를 소비하는, 매우 친일적이었다. 좋아하고 유학하고 싶은 나라가 일본이다. 그런데 서서히 변화했다. 지금은 한국이 일본보다 친밀하게 느낀다. 한국의 드라마와 음악과 춤을 몸으로 체험한다”고 분석했다.

 

■ 한류 인기의 비밀? 한국형 여성보편주의와 젠더 분리

 

K-POP, K-DRAMA에서 ‘K’는 뭘까. 오 교수는 “여성보편주의라고 뜻한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접근이었다. “한류는 여성을 중요 소비자로 지정하는 젠더 분리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전세계 여성들이 쉽게 공유하는 보편적인 문화적인 공통점이 여성보편주의다.”

 

그는 “한국 드라마에서 여성 주인공은 현명하고, 이성적이며, 온화하고 인정이 많다. 법조인, 정치가, 의사로서 약자를 구한다. 신데렐라가 아닌 왕자를 도움을 기다리지 않고 오히려 남자들을 도와서 성공시킨다”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서양의 문화적 콘텐츠에다 한국적 한(恨)을 교묘하게 섞는 암묵적 기술을 통해 일본문화나 할리우드 문화에 식상해 있는 전세계의 많은 여성들이 한류에 끌리게 했다는 것.

 

오랫동안 전세계 주류를 석권해온 것은 백인보편주의다. '슈퍼맨' 같은 백인 남성이나 '셜록 홈즈' 등이 대표적이다. 신데렐라 같은 여성을 구원하는 남자거나 이성적이고 말 잘하고 논리적인 남자다.

 

여기에다 젠더 멜랑콜리아 개념이 등장한다. 한국 남자 아이돌에서도 초콜릿복근을 가지면서 얼굴은 여성스러운 ‘미소년’이라는 혼동형 남성이 절대적 위치를 차지한다.

 

그는 “한국 보이밴드와 연기자들은 르네상스형 얼굴과 체형구조를 갖고 있다. K-POP, K-DRAMA 제작자들은 방대한 양의 미용지식을 작품에 접목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한국 미소녀들은 중국, 일본, 아세안, 중동, 라틴 아메리카, 유럽에서 열성 여성팬을 거느리게 되었다는 것.

 

한류의 탄생 비밀 중에서 한국 드라마의 작가들이 김수현 김은희 등 대부분 여성이라는 점도 꼽았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남자는 가장으로 가장의 수익을 맡는다. 그래서 여성들이 작가 직업에 상대적으로 몰렸다는 점. ‘대장금’ 등 대부분 성공한 드라마에는 여성 히로인이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는 점이다.

 

■ “한류 때문에 불고기나 갈비 좋아하게 되었다”

 

오 교수가 조사한 자료 속 한류팬들은 “영향력 있는 친구로부터 한류를 접했다. 그들은 남보다 먼저 한류를 학습하고 전파를하는 선두주자다. 이들 덕분에 처음에는 K-POP, K-DRAMA를 좋아했다. 이후 절로 한국어 학습, 한국 스타일과 문화 학습, 한국 명소와 관광지도 좋아하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그들은 “한국 드라마에 나온 겸손함과 절약정신, 열심히 일하는 한국인들이 너무 좋다. 모든 가족이 같이 아침식사를 하는 가족주의도 좋아하게 되었다. 한국음식인 불고기와 갈비도 자연스럽게 즐기게 된다. 서울로 와서 포장마차도 들렀다”고 증언한다.

 

눈여겨볼 만한것은 그들의 대부분이 유럽-미국-일본 명품을 소비한다는점이다. 그런데 미래 꿈은 한국에서 유학하거나 직장을 구하는 것이다. 삼성전자-LG를 좋아하고 K-POP 커버 댄스 대회 등 한국과 사업을 하고 싶어했다. 여성 중에서는 “한국 남자와 결혼하고 싶다”는 고백을 하기도 한다. 또한 K-POP, K-DRAMA가 협업하는 것도 한류 인기의 한몫했다는 것이다.

 

그는 “대중문화의 글로벌화와 젠더분리 같은 한류의 성공 과정을 아세안 국가에게 가르쳐줘야 한다. 글로벌 시장에서자연스럽게 상품가치를 올리는 방법을 전수해줘야 한다. 물론 남성들이나 교회나 이슬람은 K-POP을 좋아하는 분위기도 있다. 문화 교류에서도 배경을 먼저 알아야 한다는 점도 잊으면 안된다”고 말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박명기 기자 pnet21@inthenews.co.kr

배너

[2025 2분기 실적] LG에너지솔루션, IRA 세액공제 없이도 영업익 ‘흑자’

[2025 2분기 실적] LG에너지솔루션, IRA 세액공제 없이도 영업익 ‘흑자’

2025.07.25 13:21:48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올해 2분기 매출 5조5654억원, 영업이익 4922억원을 달성했다고 25일 밝혔습니다. 매출은 전년 동기(6조1619억원) 대비 9.7% 감소했고 올해 1분기(6조2650억원) 대비 11.2% 감소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1953억원) 대비 152.0%, 올해 1분기(3747억원) 대비 31.4% 증가했습니다. 2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IRA(Inflation Reduction Act) 세액 공제(Tax Credit) 등의 금액은 4908억원입니다. 이를 제외한 2분기 영업이익은 14억원으로 6개 분기만에 흑자 전환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 이창실 부사장은 "매출은 안정적인 EV향 제품 판매와 미시간 홀랜드 신규 ESS 공장의 양산 시작으로 북미 지역 출하량이 증가하였으나, 정책 변동성 확대에 따른 고객 구매 심리 위축과 메탈가 하락으로 인한 판가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며 "손익의 경우 북미 생산 비중 확대에 따른 고수익 제품∙프로젝트 물량 증가와 전사 차원의 비용 효율화 및 재료비 절감 등 원가 혁신을 통해 IRA Tax Credit 등을 제외한 기준으로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열린 실적설명회에서 ‘하반기 사업 환경 및 대응 전략’을 밝혔습니다. 우선 가장 핵심적인 환경 변화 요인으로 북미 관세 강화 및 대규모 감세법안(OBBBA)을 꼽았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 국가 대상 10% 보편관세 및 국가별 상호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특히 중국산 배터리(EV용 73%∙ESS용 41%)에 고관세를 적용하며 대중국 견제 기조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조기 일몰 우려가 있었던 AMPC(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는 32년까지, ESS 설치 프로젝트 관련 ITC(투자세액공제) 조항도 2035년 내 착공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게 유지됐습니다. PFE(금지외국단체) 조항도 신설됐습니다. PFE 기업은 미국 내 배터리 시설 투자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으며, 이 외 생산자들도 PFE산 원재료 비중을 축소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중국 등 PFE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습니다. 반면 EU는 역내 배터리 생산 프로젝트에 8억5000만유로의 투자를 발표했으며, 영국 또한 약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재개, 자국산 중심의 전기차 수요 촉진에 나서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러한 관세 정책 및 정책적 변화는 단기적으로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를 초래할 수 있으나 AI∙자율 주행 서비스 확산으로 장기 EV 수요 모멘텀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2분기에 대해 "유의미한 수주성과를 달성하며 성장 모멘텀을 지속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지난 6월 중국의 체리기차와 체결한 46시리즈 공급계약이 대표적인 수주 사례로 꼽았습니다. 자국 배터리 선호도가 강한 중국 OEM과의 첫 원통형 수주 계약으로, 신규 폼팩터인 46시리즈의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았을 뿐 아니라 고객 포트폴리오를 한층 다각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자평했습니다. 미시간 홀랜드 공장에서 LFP 기반 ESS 롱셀 본격 양산에 돌입한 것 또한 주요한 성과로 평가했습니다. 이를 통해 북미 ESS 생산 역량을 강화, 고객들의 현지 생산 요구에 적극 대응하고 다양한 제품 경쟁력을 기반으로 ESS 추가 수주를 이어 나간다는방침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하반기 녹록치 않은 경영 환경에도 실적 개선을 흐름을 지속하기 위해 전기차 수요 둔화에 대응, ESS 및 신규 폼팩터∙중저가형 신규 케미스트리 양산 확대를 통해 가동률을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신규 투자 최소화와 내부 자원 재배치를 통해 고정비를 감축하고 염가 소재 확보∙각 소재별 공급망 최적화 전략으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복안입니다. 사업 포트폴리오도 한층 강화합니다. 북미 시장 현지 생산 ESS 수요 확대에 맞춰 올해 연말까지 17GWh, 2026년 말까지 30GWh 이상의 북미 현지 Capa를 구축해 나갈 예정입니다. 유럽 시장에서는 중저가 전기차 수요에 맞춰 하반기 폴란드 공장에서 고전압 미드니켈(Mid-Ni), LFP 등 경쟁력 있는 제품 양산을 시작합니다. 혁신 기술 개발 또한 지속한다. EV용 LFP는 신규 공법과 건식전극 공정을 적용한 셀을, ESS용 LFP는 고밀도∙고집적 설계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신규 케미스트리 LMR은 LFP 대비 30% 이상 에너지밀도를 개선, 2028년 핵심 고객사의 차세대 EV 탑재될 예정입니다. 아울러, 2028년 10분 내 충전 기술을 제품에 도입하고 건식전극 또한 연내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양산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CEO 김동명 사장은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축적된 역량과 단단한 내실을 기반으로 유의미한 실적 개선을 이뤄낼 수 있었다"며 "끊임없는 도전과 변화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실현해 나간다면 다시없을 성장의 기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