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mmunication 통신

LG유플러스, AI 마케팅 시대 연다…“초개인화 시대 니즈 맞출 것”

URL복사

Tuesday, June 11, 2024, 14:06:41

신규 브랜드 슬로건 'Growth Leading AX Company' 공개
통신사 최초로 AI로만 광고 제작…조회수 1500만 돌파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메타'와 협업 예고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유플러스[032640]가 AI를 통해 마케팅 혁신을 불러일으키겠다는 포부를 내비쳤습니다.

 

LG유플러스는 11일 오전 'AX시대, ixi와 함께 성장하는 U+마케팅'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AI를 활용했던 상반기 마케팅 성과와 향후 방향성을 공유했습니다.

 

간담회를 통해 LG유플러스는 신규 브랜드 슬로건 'Growth Leading AX Company'를 공개했습니다. 최근 AI 전환으로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회사가 되겠다는 의미를 담은 것이라 LG유플러스는 설명했습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초부터 마케팅의 전 영역을 AI 중심으로 혁신하는 '익시 프로덕션(ixi Production)'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B2C와 B2B 전 사업 영역에서 AI 혁신을 시도하고 있으며 자체 개발 AI 기술 '익시(ixi)'와 올 6월 말 출시를 앞두고 있는 익시의 생성형 AI 버전 '익시젠(ixi-GEN)'을 '성장 메이트(Growth Mate)'로서 활용할 방침입니다.

 

 

정혜윤 LG유플러스 마케팅그룹장(상무)은 인격형 인공지능을 다루었던 2013년 SF영화 'Her(그녀)'를 언급하며 "챗GPT의 등장으로 고객들의 AI에 대한 기대가 정점을 찍는 시기이다"라며 "2~5년 안에 AI 혁신은 전 영역에 걸쳐 일어날 것이며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생각했다"라고 신규 슬로건에 대해 부연했습니다.

 

이어서 "마케팅 대상이 마이크로 타겟으로 이동함에 따라 다양해진 고객 경험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초개인화 시대의 니즈(needs)를 맞출 것"이라 강조했습니다.

 

이후, LG유플러스는 익시 기반의 순수 AI로 제작한 광고를 공개하며 AX 컴퍼니로의 방향성을 명확히 했습니다.

 

익시를 기반으로 제작된 LG유플러스의 광고는 인력, 조명, 카메라 등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순수 AI로만 제작됐습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통신사 최초로 AI를 활용한 광고를 선보여 1500만 조회수를 돌파하며 관심을 모으기도 했습니다.

 

이외에도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자체 개발한 익시 기반의 고객 분석 모형인 '타깃 인사이트(Target Insight)'에 익시젠을 적용해 고객 분석 솔루션을 고도화할 것이라 설명했습니다.

 

또한, 고객마다 특성을 분석해 맞춤형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AI카피라이터'와 자사의 '무너' 캐릭터를 활용한 굿즈 제작에 AI를 활용하는 등 마케팅 전 영역에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이날 LG유플러스는 세계 최초로 시도한 AI월페이퍼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스마트폰에 '프롬프트(생성형AI 명령어)'만 입력하면 해당 명령어에 맞춘 월페이퍼를 AI가 즉석에서 제작해주는 서비스입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 '메타(Meta)'와의 협업도 예고했습니다. 이르면 하반기에 익시 공식 인스타그램 메신저에 익시 챗봇을 도입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일반 고객도 SNS를 통해 익시와 대화할 수 있게 됩니다. AI를 활용한 세로형 릴스(Reels, 숏폼 영상) 제작도 메타와 처음으로 시도할 예정입니다.

 

LG유플러스의 이러한 방향성은 아직은 초기 시장인 AI 마케팅 시장을 선점하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세계적으로 AI 열풍이 불고 있으나 아직은 높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시장 경쟁에서 뚜렷하게 우위를 점하는 기업이 없다는 점을 노리는 것입니다.

 

현재 AI 마케팅 시장의 경쟁사는 어디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한영섭 LG유플러스 AI기술담당은 "AI를 활용한 마케팅은 아직 초기 시장 단계라고 생각한다"라며 "경쟁사라기보다는 기존의 크리에이터, 마케터와과 관계를 정립하고 해당 마케팅이 어떻게 고객들에게 다가갈지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답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종현 기자 flopig2001@inthenews.co.kr

배너

KT “정부 소버린 AI정책, KT와 맞닿아…한국형 AI 개발 계속할 것”

KT “정부 소버린 AI정책, KT와 맞닿아…한국형 AI 개발 계속할 것”

2025.07.03 16:15:01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KT가 자체 개발한 한국형 AI 거대언어모델(LLM) '믿:음 2.0'을 공개하고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참여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습니다. KT[030200]는 2023년 개발한 '믿:음1.0'에 이은 새로운 AI 모델 '믿:음 2.0'을 3일 선보이며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국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에 참여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신동훈 KT Gen AI 랩장은 "정부의 소버린 AI 정책은 KT의 AI 철학과 방향이 맞닿아 있다"라며 "KT는 한국적 데이터 얼라이언스와 그동안 1년여간의 노력을 거쳐 구축한 데이터들이 있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하는 데 큰 강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오승필 KT 기술혁신부문장은 "KT가 추구하는 소버린 AI는 데이터 주권 확보, 한국 언어 및 문화에 대한 지식, 다양한 AI 모델 선택권, 책임감 있는 AI 등 네 가지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신동훈 랩장은 "믿음 모델은 데이터 구축부터 모델 학습 전 과정이 KT 자체 기술을 통해 이뤄졌기 때문에 소버린 AI 모델로 볼 수 있다"라며 "한국적 가치와 문화를 담아낸 믿음 모델은 독자적 AI를 구축하는 데 큰 강점이라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의 소버린 AI 정책에 대해 신동훈 랩장은 "과제에 선정이 되고 안 되고를 떠나 KT는 한국형 AI 개발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정부에 바라는 점이라면 공공 데이터에 대한 규제를 완화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라며 "규제에 막혀 일부 국가 공공문서 학습 못하고 있는 상황인데 국가가 통제 가능한 데이터를 어느 정도 기업이 AI 학습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KT는 이날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업하는 AI 사업과 자체 개발하는 AI의 관계설정에 대해서는 상호 보완 관계라고 설명했습니다. 신동훈 랩장은 "믿음 개발을 멈춘 적은 없으며 한 번도 자체 AI 기술 개발을 포기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라며 "KT의 자체 개발 AI가 완전한 기술로 거듭나기 전까지 MS와의 협업을 통해 부족한 기술을 보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MS와의 협업을 진행하면서도 AI 자체 개발도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을 택했다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MS와의 협업 모델과 믿:음 2.0의 역할이 다를 것이라고도 설명했습니다. 고성능·복잡 업무에는 MS와의 협업 모델을, 단순 및 문서 업무에서는 믿음 모델을 활용해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앞서 KT는 MS와의 협업 모델을 올해 2분기 상용화를 목표로 공동 개발 중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협업 모델의 출시 지연에 대해 KT는 "조만간 공개될 예정"이라며 "시기가 밀리는 이유는 내부적으로 성능을 높이기 위한 테스트 과정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