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ulture 문화

[인더북스 플러스] 헝클어진 우리, 끝내 춤을 출 수 있는 이유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URL복사

Tuesday, February 13, 2024, 00:02:56

정진영/무불/322쪽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뉴스 속 여러 사건과 사고 소식을 보고 듣다보면, 한국 사회는 저마다 제자리를 벗어나 온통 헝클어지고 있다는 느낌이 듭니다. 

 

특히 한국 사회가 빠른 속도로 자본주의화 되는 과정에서 경제적인 욕망을 추구하는 행위는 일종의 정서적 '치외법권' 지대가 되었습니다. 누가 봐도 부동산 투기 행위이지만 법망을 피해 교묘한 방식으로 부를 쌓고, 어리숙한 누군가의 기대를 악용해 사기를 치지만 이를 제제하는 공권력은 여전히 일상에서 멀기만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피해를 받는 계층은 아무래도 서민들입니다. 뉴스에서는 서민들을 대상으로 한 온갖 사기와 사건들이 시도 때도 없이 보도됩니다. 갈수록 혼돈과 혼란속으로 빠져들어가는 이들의 모습은 실상 누구의 모습이 아닌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자화상이기도 합니다.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는 조선일보 판타지 문학상(2011)을 받고, 드라마 <허쉬>의 원작 소설 '침묵주의보' 등을 쓴 정진영 작가의 첫 소설집입니다. 정 작가는 김훈과 장강명 작가의 뒤를 잇는 기자 출신 소설가로 문단에서 주목을 받았습니다. 정 작가는 미문에 천착하거나 소설을 위한 소설보다는 지금 한국 사회의 현실에 맞닿아 있는 소재를 특유의 빠르고 군더더기 없는 문체로 환기하는 데 장점을 보여줬습니다. 

 

정 작가는 이번 첫 소설집에서도 기존의 장편에서 보여줬던 문제의식을 놓지 않았습니다. 코로나 재난지원금을 둘러싼 에피소드<선물>, 학창시절 학폭에 저항했다가 삶이 꼬여버린 이들의 현실을 그린 <네버 엔딩 스토리>, 소위 영끌이라 불리는 2030세대의 부동산 투기와 코인사태를 소재로 한 <숨바꼭질> 등의 단편이 그런 작품들 입니다.  

 

이 외에도 정 작가는 SF적인 상상력을 발휘해 쓴 연가인 <시간을 되돌리면>과 '아기공룡 둘리'의 주인공들을 오마주하며 전염병 사회를 풍자한 <눈먼 자들의 우주>등의 색다른 단편도 실었습니다.     

 

소설집에서 관통하는 정서는 결국 정 작가가 지닌 삶에 대한 연민과 연대입니다. 문체는 건조한 편이고 사회를 보는 작가의 시선 역시 일정부분 '냉소'를 기반으로 합니다. 그럼에도 정 작가의 단편들의 결말에서 느끼는 온도는 결코 차갑지 않습니다.

 

이른바 X세대에 속하는 정 작가는 이제 한국 사회의 주축이 된 40대의 눈으로, 혹은 그 정서로 계속 헝클어지는 한국 사회를 지켜보면서도 그 안에서 우리가 '정신을 놓지 않기 위해' 꼭 잡아야 할 가치를 말하고자 합니다.

 

콜센터에서 노조를 결성하다가 결국 회사를 나갔던 동료를 찾아가는 여정을 담은 <안부>라던가 중고거래에서 사기를 당했지만 익명의 또 다른 누구를 만나 위안을 받는다는 <징검다리>같은 단편들은 생존에 밀려 숨기고 감추고 있는 우리들의 여린 마음. 그 여린 마음을 잇는 연대의 가능성을 조근히 펼쳐놓습니다. 

     

표제작인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는 삼국유사의 만파식적과 처용가를 차용한 단편입니다. 장례식장에서 한 여자를 사랑했던 두 명의 남자가 결국 서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며 마무리되는 결말부분의 여운이 무척 짙습니다.

 

그 짙은 여운은 정 작가가 지닌 사람에 대한 연민이 작품 속에 완벽하게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그 연민이 이른바 문학적으로는 세련되지 못한 정서이거나 혹은 지금 이 시대 각광받는 다른 소설들과는 가깝지 않은 주제일 수 있습니다. 정 작가는 소설 속 인물들이 자아의 세계로 깊게 침잠하거나 혹은 미시적 관계에서의 아주 세밀한 감정선들을 담아내는데는 매우 탁월한 편은 아닙니다. 

 

하지만 애잔하고 애련하게 사람을 보고 그 사람의 욕망과 부딪히는 사회를 건조하게 묘사하면서도 독자의 마음에 습기를 전하는 데 일가견을 보여줍니다. 정 작가의 일가견이 단편 곳곳에 번뜩이다보니 비록 각각의 소재는 다르고 일부 작품은 튀는 느낌이 들어도 책장을 다 덮으면 하나의 묘한 희망으로 모아집니다.

 

현실은 우리의 인생을 헝클어뜨리고 좌절을 안겨줄지라도 우리가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출 수 있는 이유가 없지 않다는 정 작가 특유의 낙관적 마음이 바로 그것입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김용운 기자 lucky@inthenews.co.kr

배너

KT-팔란티어, 한국서 첫 CEO 회동…플랫폼 확산 위한 방안 논의

KT-팔란티어, 한국서 첫 CEO 회동…플랫폼 확산 위한 방안 논의

2025.10.14 11:23:27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KT[030200]가 글로벌 AI 플랫폼 기업 팔란티어와 한국에서 첫 CEO 회동을 갖고 사내 적용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 산업 전반에 팔란티어 플랫폼을 확산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지난 3월 KT는 팔란티어와의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국내에서 최초로 팔란티어의 '프리미엄 파트너' 지위에 올랐습니다. 김영섭 KT 대표와 알렉스 카프 팔란티어 CEO는 KT 광화문 빌딩에서 다시 만나 그간 추진한 팔란티어 플랫폼 적용 성과를 점검하고 이를 국내 기업에 확산하기 위한 실행 전략을 재정비했습니다. KT는 알렉스 카프 CEO 방한을 맞이해 제2회 'AX 리더 서밋'을 개최했습니다. AX 리더 써밋은 각 산업에서 AX 흐름을 선도하는 대기업 경영 리더들과 글로벌 경영 리더 간의 포럼입니다. 이번 행사에는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 김용범 메리츠금융지주 부회장,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 이주태 포스코홀딩스 대표이사 등이 참석해 세계적인 불확실성 속에서 산업별 대응 방안을 고민하고 알렉스 카프 CEO와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팔란티어 플랫폼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KT는 클라우드 기반의 업무 환경을 구축하고 팔란티어 파운드리와 AIP(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를 일부 조직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파운드리와 AIP는 기업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효율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플랫폼입니다. 이로써 업무 중 생성되는 대규모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 및 시각화해 부서별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좀 더 명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됐다고 KT는 설명했습니다. 이를 통해 KT는 플랫폼 구축과 활용에 필요한 컨설팅 및 기술 역량을 체득했습니다. 양사는 실제 검증된 도입 효과와 플랫폼 활용 역량을 바탕으로 국내 고객들이 팔란티어 플랫폼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는 풀 패키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특히, 민감한 데이터를 주로 다루는 금융·공공 분야 고객도 안심하고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보안에 특화된 서비스로 설계 중입니다. 한편, 팔란티어는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민간 고객과의 접점 확대를 위해 자사 굿즈를 활용한 팝업 스토어를 선보입니다. 14일부터 15일까지 이틀간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에서 운영되는 이번 팝업 스토어에서는 '온톨로지 후드티'를 포함한 한정판 브랜드 굿즈를 공개합니다. KT도 국내 유일 프리미엄 파트너사로 본 행사를 공식 지원합니다. 김영섭 대표는 "KT와 팔란티어의 협력은 대한민국 주요 산업 분야의 AX 혁신을 이끌어내는 성공 사례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AI와 데이터에 기반한 효과적인 의사 결정이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