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아리야, 최신 음악 찾아줘. 가사 보여줘.”“오늘 미세먼지 어때?“ 보이는 AI 스피커‘누구네모’가 나왔다. 기존 AI 스피커의 주된 기능은음악을 찾고, 듣는 것으로 활용됐다.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AI 스피커가 출시되면서 음악과 함께 가사까지 같이 즐길 수 있게 됐다. 미세먼지와 날씨 등도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색깔로 식별할 수 있다. 박명순 SK텔레콤 AI사업유닛장은 18일보이는 AI 스피커 ‘누구네모’ 설명회에서“AI스피커 누구를 출시한 이후 2년 반 동안 무엇을 보여줄지 고민을 많이 했다”며“음성 AI서비스에서 디스플레이를 결합한 멀티 모댈러티(Multi-modality, 복합소통)경험을 제공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번 AI 스피커 누구네모는 크게 4가지 특징이 있다. 예컨대▲ 7인치디스플레이 탑재▲ 뛰어난 음질▲ 키즈콘텐츠 탑재▲ 카메라 기능 이용한 영상기술 인식 적용이다. 기존 AI 스피커에 탑재된 기능까지 포함해 총 35가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AI 스피커는 음악, 날씨, 뉴스, 무드등, 키즈 놀이학습, 게임 등에서 활용된다.가령, AI 스피커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음악의 경우 화면에 나타난 가사를 보고, 직접 따라 부를 수 있다.미세먼지도음성 정보와 동시에 화면에 표기된 색을 보고 미세먼지 수치를 파악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이번누구네모의 스피커의 음질이 탁월하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이‘NUGU SPK’ 서비스 사용율을 조사한 결과, 지난 2017년 1월 음악 사용율이 60%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올해 33.4%로 절반 가량낮아졌지만, AI 스피커의 기능 중음악 사용율은 가장 높다. 실제로 들어 본누구네모의 음질은 좋은 편이었다. 음악을 들으면서 동시에 가사를 볼 수 있는 점도 편리했다. 날씨와 미세먼지 정보를 파악할 때도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보여주는 색(푸른색, 붉은색 등)으로 멀리서도 즉각적으로 인지가 가능했다. 이번 AI 스피커 누구네모의 1차 타깃은 가정주부와 아이들이다. 누구네모에 두뇌게임과 놀이학습 어린이 콘텐츠가 담긴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박명순AI사업유닛장은“가정 주부가 주 타깃층인데, 리서치 결과 키즈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교집합이어서담게 됐다”고 설명했다. 향후 보완해야 할 점도 많았다. 디스플레이가 추가된 AI 스피커이지만, 키즈 콘텐츠를 제외하고 기존 음성 AI 스피커와 비교했을 때 기능이 크게 차이가 없었다. AI 스피커가 스마트홈의 허브 역할이 커지는 가운데, 화면으로 연동되는 서비스는 구현되지 않았다.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카메라 기능도 제한적이었다. 현재 카메라는 키즈 콘텐츠에서 화면 인식을 할 경우에만 활용되고, 영상 통화 혹은 가정 내 홈 카메라 등의 기능은 추가되지 않았다. 박명순AI사업유닛장은“누구네모에도 기존에 있는 삼성전자, LG전자, SK매직 등 여러 제품군의 스마트홈 음성 기능이 있다”면서도“현재 화면으로 연동이 안됐지만, 가전사와 직접 제휴한 부분은 하반기 업그레이드 들어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키즈 콘텐츠에 집중한 만큼 2030대 스마트 라이프를 공략할 콘텐츠도 부족한 편이다.박명순 유닛장 “현재도 음질이 우수해 음악 콘텐츠도 충분히 즐길 수 있지만, 하반기 여러 기능을 추가하려고 한다“며“스마트 라이프 고객은 넥스트 타깃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 SK텔레콤이 새로운 AI 스피커를 선뵀다. 기존 AI 스피커는 소리를 통해 정보를 전달받았는데, 이번 제품은 디스플레이를 장착해 정보를 화면으로 전달하는 형태다. 18일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박정호)에 따르면 기존 소리로만 들려주던 정보를 화면으로도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탑재형(形) AI 스피커 ‘누구 네모(NUGU nemo)’를 출시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7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누구 네모’의 출시로 소비자들은 AI 스피커가 전달하는 정보를 보다 직관적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면서 “더불어 사용 편의가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최근 해외 시장은 지난‘2017년 아마존 ‘에코 쇼(show)’ 출시 이후 구글, 레노보 등 글로벌 업체들이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AI스피커를 연이어 출시하는 등 관련 시장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도 소비자들의 AI 디스플레이 스피커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네이버 등 IT 업체들이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이에 SK텔레콤은 ‘누구 네모’ 출시와 함께, 소비자들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 가능한 차별적 기능들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를 준비했다. ◇학습 도우미 역할 톡톡..어린이 특화 콘텐츠제공 SK텔레콤은 ‘누구 네모’를 통해 인기 어린이 콘텐츠인 핑크퐁 놀이학습 5종을 무료로 제공한다. 예컨대, ‘상어가족’ 노래로 유명한 스마트스터디사(社)의 핑크퐁은 어린이들이 애니메이션, 동요, 게임 등을 통해 한글, 영어, 수학 등을 배울 수 있는 콘텐츠 브랜드이다. 특히핑크퐁 놀이학습 5종에는 최고 인기 콘텐츠인 영어 공부용 ‘핑크퐁! ABC파닉스’와 수학 공부용 ‘핑크퐁! 123 숫자놀이’가 포함된다.어린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에게 인기있는 코코몽 놀이학습 1종도 포함돼있다. 영상인식 기반의 어린이용 학습게임도 새롭게 개발해제공한다. 어린이들은 ‘거꾸로 가위바위보’, ‘고고고(크고 많고 길고)’ 등의 게임을 통해 다양한 손동작을 해보며 지각능력과 순발력, 응용능력 등을 키울 수 있다. 또한 SK텔레콤은 인기 어린이 콘텐츠인 ‘oksusu 키즈 VoD’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한다. 어린이들의 디스플레이 사용에 따른 시력 저하 문제는 영상인식 기술을 통해 해결했다. 영상을 보고 있는 아이가 화면 가까이 올 경우, 적절한 거리에서 시청 할 수 있도록 VoD를 자동으로 멈추고 ‘뒤로 가기’ 안내를 한다. ◇ 스마트폰 없이도 화면 통해 정보 제공 이번 ‘누구 네모’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음악 감상 시 가사 확인 ▲실시간 환율정보 ▲증권정보 ▲운세 ▲지식백과 사전 ▲한영사전 등 다양한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기존의 AI 스피커가 음성으로만 제공하던 정보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누구 네모’ 이용자들은 기존 누구에서 제공하던 음악 감상, 날씨 확인, 일정관리 등 30여 가지 생활밀착형 기능들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밖에 ‘누구 네모’는 20가지의 각기 다른 홈 테마 설정이 가능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무드등’과 특정 시간마다 화면이 자동으로 꺼지게 설정할 수 있는 ‘나이트 모드’ 기능은 이용자들의 편안한 수면에 도움이 된다. ◇프리미엄 스피커 탑재 이어 디자인 어워드까지 석권 SK텔레콤은 스피커의 기본인 음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누구 네모’에 최적의 울림통을 가진 JBL스테레오 스피커를 탑재했다. JBL스테레오 스피커는 전 음역을 표현할 수 있는 2개의 10W 풀레인지 드라이버가 적용돼 콤팩트한 사이즈에서도 최대 20W 출력으로 최고의 음질을 선보인다. 또한, ‘누구 네모’에는 저음을 증강시키는 4개의 ‘패시브 래디에이터(Passive Radiator)’와 ‘저왜곡 스피커 유닛’이 탑재돼 부드러우면서도 강력한 저음으로 몰입감을 극대화한다. 한편 ‘누구 네모’는 올해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제품 디자인상’을 수상하는 등 해외에서도 디자인 우수성을 인정 받았다. ‘iF 디자인 어워드’는 1953년 독일 인터내셔널 포럼 디자인 주관으로 시작된 세계 최고의 권위와 역사를 자랑하는 디자인 공모전이다. ◇가격은 19만 9000원으로 약간 높아..23일부터 예판 시작 이번‘누구 네모’의 가격은 19만 9000원이다. 기존 AI 스피커들이 10만원 안팎인 경우와 비교하면 가격은 약간 높은 수준이다. 오는 23일부터 28일까지 온라인 쇼핑몰 11번가와 전국 SK텔레콤 공식 인증 대리점(PS&M)에서 예약판매를 진행한다. 예약판매 기간 내 구매할 경우, 플로(FLO) 6개월 무료 이용권과 핑크퐁 인형을 제공한다. 박명순 SK텔레콤 AI사업유닛장은 “AI스피커를 통해 듣는 정보를화면으로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고 싶은 소비자들을 위해 디스플레이 탑재형(形) AI 스피커 ‘누구 네모’를 출시했다”며 “앞으로 중소기업 등과의 협업을 통해 AI 관련 생태계를 키워서소비자들이 5G 초시대에 걸맞은 다양한 AI 서비스를 누리실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LG화학 여수화치공장을 포함한 여수 산단 지역 기업들이 대기오염물질 측정대행업체와 짜고 미세먼지 원인물질을 불법배출했다는 보도(본문 하단 <참고할 만한 기사> 참조)에 대해 LG화학이 대표이사 명의로 사과문을 냈다. 신학철 LG화학 대표이사는 17일 사과문에서 “이번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 참담한 심정으로 막중한 책임을 통감하며 모든 분께 머리 숙여 깊이 사죄드립니다”라고 말했다. 이날 사과문은 환경부가 측정치를 조작한 의혹을 받는 대행업체와 기업을 공개한 직후 나왔다. 신학철 대표이사는 관련 생산시설을 폐쇄하고 보상도 약속했다. 그는“사안을 인지한 즉시 현재는 법적 기준치 및 지역사회와 약속한 배출량을 지키고 있다”면서도 “이번 사태에 대한 책임을 다하기 위해 폐쇄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지역주민과 관계자분들의 걱정을 해소하기 위해 공신력 있는 기관의 위해성·환경영향평가를 지역사회와 함께 투명하게 진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상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공모관계가 입증된 대기배출사업장에 대해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고발한 상황이다. LG화학은“수사기관 조사가 이뤄지고 있어 사실관계가 명백히 밝혀진 뒤 상응하는 조처를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검찰 조사와 환경 평가 진행에 따라 보상액이 산정될 전망이다. 한편, 환경부에 따르면 2016년 11월 LG화학 여수화치공장은 측정대행업체 정우엔텍연구소와 공모해 오염물질 측정값을 조작했다. 시설에서 채취한 시료의 염화비닐 실측값이 207.97ppm으로 배출허용기준인 120ppm을 초과했음에도 3.97ppm으로 축소해 보고했다. 이를 포함해 2016년 7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총 149건에 대해 측정값을 조작해 측정기록부를 거짓으로 작성했다. 측정대행업체와 오염물질 측정치를 조작한 것으로 드러난 사업장은 LG화학과 한화케미칼 등 235곳이다. ☞ 참고할 만한 기사 -측정치 조작 대기오염 불법배출...LG·한화 등 대기업 포함 235곳 적발_(이데일리)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세계 최대 규모의 모터쇼인 상하이모터쇼가 오는 18일 공식 개막한다. 13억 인구를 발판삼아 크게 성장한 상하이모터쇼의 올해 키워드는 SUV와 전기차로 꼽힌다. 각국 제조사들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중심인 중국에서 치열한 신차 대전을 펼칠 전망이다. ‘Create a Better Life(보다 나은 삶의 창조)’를 주제로 상하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이번 상하이모터쇼에는 총 20개국 1000여개 브랜드가 참가한다. 앞서 이달 초 폐막한 서울모터쇼에 180개 업체가 참여했던 것과 비교하면 초대형 규모인 셈이다. 지난 2017년엔 무려 101만 명이 상하이모터쇼를 찾았다. 상하이모터쇼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모터쇼에는 총 1400여 종의 차량이 전시되고, 이 가운데 113종이 세계 최초로 공개된다. 특히 글로벌 자동차 시장 1위이자 전기차 시장 1위인 중국을 공략하기 위한 159종의 친환경차들이 무대를 빛낼 채비를 마쳤다. 먼저, 현대자동차는 엔씨노(중국형 코나) 전기차와 링동(중국형 아반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최초 공개한다. 신형 친환경차를 앞세워 중국 정부의 친환경차 육성 정책과 규제 강화에 적극 대응하고 중국 친환경차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 출격하는 엔씨노 전기차는 전면 범퍼, 헤드램프 및 리어램프, 휠 디자인 등을 바꿔 친환경차 이미지를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도 현대차는 최근 판매를 시작한 중국형 신형 싼타페 셩다와 하반기 출시 예정인 신형 ix25, 중국형 신형 쏘나타를 전시할 방침이다. 또 기아자동차는 현지 전략모델인 올 뉴 K3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최초로 선보이고, 미래 전기차 콘셉트카인 ‘이매진 바이 기아’도 함께 전시한다. 더불어 올 뉴 K3를 비롯해 스포티지, 즈파오와 이파오, KX 크로스 등 중국 전략모델을 대거 무대 위에 올릴 예정이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전기차 모델인 ‘더 뉴 EQC’를 중국 최초로 공개한다. 브랜드의 전기차 비전을 상징하는 더 뉴 EQC는 300kW의 강력한 출력과 1회 충전 시 최대 450km 이상(NEDC 기준) 주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최대 7명이 탑승할 수 있는 소형 SUV 콘셉트카 GLB와 중국 전략모델인 메르세데스-AMG A35 4매틱 세단도 이번 모터쇼에서 세계 최초로 선보인다. 이밖에 더 뉴 B-클래스, 더 뉴 A-클래스, 메르세데스-AMG GT C 로드스터, 더 뉴 E53 쿠페 등도 중국 최초로 공개된다. BMW는 최신 배터리 기술이 탑재된 뉴 X1 xDrive25Le와 BMW 비전 i넥스트, iFE.18 전기 레이스카 등을 이번 모터쇼에서 공개한다. 또한 중국 최초로 인텔리전트 퍼스널 어시스턴트 등을 공개해 자율주행, 전기차 등 혁신 기술을 대거 선보일 예정이다. 또 BMW는 최근 출시된 뉴 3시리즈의휠베이스를 늘린 중국 전략모델을 세계 최초로 공개한다. 중국에 판매되는 뉴 3시리즈(롱 휠베이스 포함)는 모두 BMW 브릴리언스 오토모티브 중국 선양 공장에서 생산될 예정이다. 폭스바겐은 대형 전기SUV인 ID. 룸즈 콘셉트카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고, 양산차를 오는 2021년 중국 시장에 출시한다. ID. 룸즈는 한 번 충전으로 중국 NEDC 기준으로 최대 475km까지 주행할 수 있고, 레벨4 수준의 완전 자율주행 기능이 더해졌다. 폭스바겐은 전기차와 SUV 모델을 앞세워 중국 시장을 적극 공략할 방침이다. 이번 모터쇼에는 2년 내에 중국 시장에 출시될 ID. 룸즈, 테라몬트 X, SUV쿠페 컨셉, SMV 컨셉 등 총 11대의 SUV가 출격한다. 폭스바겐의 고급브랜드인 아우디는 이번 상하이모터쇼에서 중국 전략차종으로 개발된 소형 SUV 아우디 Q2L e-트론을 세계 최초로 공개한다. 아우디는 1회 충전 시 최대 265km(중국 인증 기준) 주행 가능한 e-트론을 내년 초 현지 생산해 판매할 계획이다. 또 아우디는 미래차 비전을 제시하는 아우디 ‘AI:ME’ 콘셉트카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는 한편, 중국에서 생산되는 2세대 Q3를 본격 출시한다. 중국 전략차종인 아우디 Q3는 중국 소비자들의 취향을 고려해 넓은 실내 공간을 갖추고 혁신적인 운전자 보조 시스템도 적용됐다. 닛산의 고급브랜드인 인피니티도스포츠 세단에 전동화 파워트레인을 적용한‘Qs인스퍼레이션’을 세계 최초로 선보인다.Qs인스퍼레이션은 높아진 드라이빙 포지션과고성능 전기 사륜구동 시스템을 적용해스포츠 세단의 개념을 재정립한 모델이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장인 만큼 각국의 제조사들이 현지 전략차종들을 앞세워 현지 소비자들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며 “특히 중국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40% 가량을 점유하고 있어 이번 모터쇼에도 다양한 전기차들이 쏟아져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김진희 기자]“역량을 십분 발휘해, 더욱 찬란한 동원의 새 역사를 써주십시오.” 동원그룹 창업자이자, 50년간 회사를 이끌어 온 김재철 회장이 창립 50주년 기념식에서 자진 퇴진을 선언했다. 김 회장은 그간 동원의 역사를 만들 수 있도록 바탕이 되어준 이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며, 동시에 우리 사회에 더욱 필요한 기업이 돼 줄 것을 당부했다. 16일 동원그룹 김재철 회장이 회장직에서 물러나겠다고 선언했다. 지난 1969년 동원산업을 창업하고 회사를 이끌어 온지 50년 만이다. 김 회장은 이날 오전 경기 이천의 ‘동원리더스아카데미’에서 열린 ‘동원그룹 창립 5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여러분의 역량을 믿고 회장에서 물러서서 활약상을 지켜보며 응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회장은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을 이끌어 온 1세대 창업주다. 이렇듯 창업 세대가 명예롭게 자진 퇴진하는 사례가 그 동안 거의 없었기에 관련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창업 정신과 비전 잊지 말고 새로운 도전 극복해야” 강조 김 회장은 기념사에서 “동원이 창립된 1969년은 인류가 달에 발을 디딘 해로, 선진국이 달에 도전할 때 동원은 바다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엄청난 갭이 있었다”며 “하지만 열심히 땀을 흘리고 힘을 모은 결과, 동원은 1·2·3차 산업을 아우르는 6차 산업을 영위하며 장족의 발전을 이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생의 짐은 무거울수록 좋다. 그럴수록 인간은 성장하니까’라는 말을 가슴에 새기고 노력해왔다”며 “동원의 자랑스러운 50년을 만들 수 있도록 바탕이 되어 준 우리나라와 사회에 감사를 드리며 우리 사회에 더욱 필요한 기업이 될 것을 다짐한다”고 강조했다. 또, “동원의 창업정신은 ‘성실한 기업 활동으로 사회정의의 실현’이었고, 기업 비전은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회필요기업’”이라며 “앞으로도 이 다짐을 잊지 말고 정도(正道)로 가는 것이 승자의 길이라는 것을 늘 유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회장은 “오늘날의 급격한 변화는 과거를 자랑하고 있을 여유가 없으며, 기업 경영은 언제나 새로운 도전을 받고 이겨내야 한다”며 “4차 산업혁명이다, 인공지능이다 새 바람이 불어오고 있지만 동원이 가진 잠재력과 협동정신이 발휘되면 능히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기념사 말미에 “여러분의 역량을 믿고 회장에서 물러서서 활약상을 지켜보며 응원하고자 한다”며 “역량을 십분 발휘해 더욱 찬란한 동원의 새 역사를 써달라”고 덧붙였다. ◇ 새로운 세대가 변화와 혁신 이끌어야 한다고 판단 김 회장의 퇴진 선언은 창립 50주년을 앞두고 오랫동안 고민하다 결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창업 세대로서 소임을 다했고, 후배들이 마음껏 일할 수 있도록 물러서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했다는 후문이다. 특히, 평소 ‘기업은 환경적응업이다’라는 소신을 밝히며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해온 만큼, 동원의 변화와 혁신을 새로운 세대가 이끌어야 한다고 판단했다는 분석이다. 김 회장은 최근에 인공지능(AI)에 관심을 갖고, 이를 사업과 연결하는 방안은 물론 글로벌 기업경영의 화두가 되고 있는 RPA를 경영에 도입하는 것도 직접 진두 지휘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장에서 물러난 후 김 회장은 그룹 경영과 관련해 필요한 경우에만 그간 쌓아온 경륜을 살려 조언을 할 것으로 보인다. 또, 재계 원로로서 한국 사회를 위해 기여하는 방안도 고민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김 회장은 “그간 하지 못했던 일, 사회에 기여하고 봉사하는 일도 해나갈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김 회장 퇴진 이후 동원그룹 경영은 큰 틀에서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도체제 관련해서도 차남인 김남정 부회장이 중심이 돼 경영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동원그룹 관계자는 “지주회사인 엔터프라이즈가 그룹의 전략과 방향을 잡고 각 계열사는 전문경영인 중심으로 독립경영을 하는 기존 경영에서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신임 보험개발원장 후보인강호 교보생명 고문과 이준섭보험개발원 부원장에 대한 최종 면접이 오는 17일 진행된다. 내부인사인 이 부원장이 원장으로 최종 선임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보험개발원은 지금까지내부인사가 원장이 된 사례가없다. 1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개발원은 지난 11일 신임 원장 최종 후보로 선정된 강고문과 이 부원장에 대한 최종 면접을17일에 진행할 예정이다. 보험개발원은 전임 성대규 원장이 신한생명 사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공석이 된 원장직에 대한 공모를 진행한 바 있다. 강 고문과 이 부원장을 비롯해 박상래 김앤장 자문위원, 노상봉 전 보험감독원 국장 등이 지원했는데, 원장 후보 추천위원회(원추위)는 강 고문과 이 부원장을 최종후보로 선정했다. 강 고문은 1958년 생으로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보험연구원의 전신인 보험개발원 보험연구소 소장을 역임했으며, 한화생명의 전신인 대한생명에서 전무와 부사장을 지냈다.지난 2010년부터 보험개발원 부원장으로 3년 임기를 지냈다. 이 부원장은 1962년 생으로 성균관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했다. 1989년 보험개발원에 입사해 30년 동안 근무하고 있다. 그동안장기보험팀장, 기획관리부문장, 보험요율서비스1부문장, 컨설팅서비스부문장 등을 거치며 다양한 실무 경험을 쌓았다. 강 고문의 경우 업계와 개발원을 두루 경험해 인맥이 탄탄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부원장은 개발원 내 터줏대감으로 직원들의 신망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약 이 부원장이 원장으로 선임되면 개발원 설립 이래 최초의 내부 출신 원장이 된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현재 공석인 원장 자리를 오래 비워둘 수 없어 빠르게 선임 절차를 진행 중”이라며 “이달 중에 차기 원장이 결정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인더뉴스 주동일 기자]브레게가 다이얼에 파도무늬 기요셰(판 등을 장식한 패턴)를 새긴 ‘마린 에콰시옹 마샹 5887’ 공개했다. 세계 최초로 기요셰 다이얼을 만든 브레게가 처음 선보이는 무늬다. 해당 시계는 짙은 파란색 밴드·다이얼, 해군 문장 인그레이빙 등으로 바다와 배를 형상화했다. 브레게는 마린 컬렉션 신제품 출시 기념행사를 지난 12일 열었다. 행사장에선 현재 후원 중인 해양 보호 캠페인을 함께 소개했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세계 35개 지역을 무동력 요트로 항해하는 ‘뉴 오딧세이’ 프로젝트의 모든 선원들에게 특별판 시계를 기증한 캠페인이다. 기증된 시계는 새로 출시한 마린 에콰시옹 마샹 5887과 같은 제품이지만 문자판에 물결무늬 기요셰 대신 프로젝트에 사용된 요트를 새겼다. 별도로 출시하지 않겠다는 이 시계들은 2021년 항해 종료 후 경매에 올라갈 예정이다. ◇ 현대 시계의 역사, 브레게 브레게는 마리 앙투와네트·나폴레옹 보나파르트·윈스턴 처칠·블라디미르 푸틴 등 여러 사회 지도층이 애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1775년 세워진 스위스 시계 브랜드로 브레게는 생기있고 우아한 디자인과 ‘현대 시계의 역사’라고 불릴 정도로 뛰어난 기술력이 특징이다. 실제로 시계에서 혁신적이라 평가받는 고급 기술 중 상당수가 브레게에서 개발됐다. 자동으로 시계 태엽을 감는 ‘셀프와인딩(1780)’, 밤에 종을 쳐서 시간을 알려주는 ‘리피터(1783)’, 윤달 등을 계산해 날짜를 자동 설정하는 ‘퍼페추얼 캘린더(1795)’ 등이 그 예다. 중력으로 부품이 오작동하지 않도록 돕는 ‘뚜르비옹(1801)’, 경과 시간을 알려주는 ‘크로노그래프(1820)’ 등도 브레게의 작품이다. 최근엔 전자기기 등의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는 실리콘 부품(2006)을 만들어 현재까지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최초의 손목시계’를 브레게에서 만들었다는 평도 있다. 브레게는 1810년 나폴리 여왕의 주문을 받아 손목시계인 ‘브레게 2639’를 만들었다. 최초의 손목시계를 정하는 기준에 따라 의견이 나뉘지만, 브레게 2639는 ‘까르띠에 산토스(1904)’와 함께 최초의 손목시계로 꼽힌다. ◇ 19세기 프랑스 해군 시계 모티브 담아 해양 보호 캠페인 후원 브레게 창립자 아브라함-루이 브레게는 1815년 루이 18세의 요청으로 프랑스 왕정 해군 전용 마린 크로노미터를 만들었다. 배 위치 파악 기능을 더한 시계로, 해당 장치를 만드는 것은 당시 시계 제작자들 사이에서 최고의 지위로 손꼽혔다. 창립자의 마린 크로노미터에서 영감을 받아 브레게는 1990년 마린 컬렉션을 출시했다. 현재 브레게에서 가장 인기 있는 컬렉션으로 파도무늬 기요셰를 담은 이번 출시품들은 세 번째 시리즈에 해당한다. 세 번째 마린 컬렉션 출시를 기념해 브레게는 해양 오염 방지 캠페인을 후원하기로 했다. 이에 브레게는 새 마린 컬렉션의 대표 모델로 특별판 시계를 만들어 해양 오염 연구 프로젝트인 뉴 오딧세이에 기증했다. 뉴 오딧세이 프로젝트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35개국을 무동력 요트로 항해하면서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해양 오염을 연구하는 프로젝트다. 브레게는 요트에 탑승한 모든 선원들에게 특별판 시계를 전했다. 해당 시계는 마린 컬렉션의 대표 모델인 ‘마린 에콰시옹 마샹 5887’과 같은 제품이지만 문자판에 물결무늬 기요셰 대신 요트를 새겼다. 2021년 항해 종료 이 시계들은 후 경매에 올라갈 예정이다. 경매가는 상당히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반 모델 자체가 고가(2억 8550만원)인 데다가 정식 출시하지 않는 특별판인 점, 과거 유명 시계의 특징을 담은 시계가 최근 높은 인기를 끈다는 점 등이 그 이유다. 마크 A. 하이예크 브레게 회장은 “해양 생태계의 보존을 위해 노력하는 레이스 포 워터 프로젝트를 지원해 매우 기쁘다”며 “19세기 초, 시간을 기록하는 것은 항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이었다. 우리는 오디세이 프로젝트 후원을 통해 이 전통을 잇고자 한다”고 말했다. ◇ 첫 방한한 엠마뉴엘 브레게 “트렌디하고 세련된 나라” 이번 행사엔 브레게 마케팅 총괄 책임자인 엠마뉴엘 브레게가 참석해 새 컬렉션과 캠페인을 소개했다. 브랜드 창립자인 아브라함-루이 브레게의 7대 직계 손이기도 한 그는 이번이 첫 방한인 것으로 알려진다. 엠마뉴엘 브레게는 “한국은 듣던 대로 가장 트렌디하고 세련된 국민들이 있는 나라”라며 “마린 컬렉션을 사랑해주시는 여러분을 위해 시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품들을 소개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후원은 해양 생태계를 보호를 목표로 플라스틱 쓰레기를 수거하고 클린 에너지를 소개하기 위해 시작했다”며 “아름다운 밤에 와준 여러분께서 브레게를 즐겨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행사에선 신제품인 마린 크로노그래프 5527·마린 데이트 5517·마린 알람 뮤지컬 5547 등이 공개됐다. 또 마린 에콰시옹 마샹 5887이 뉴 오딧세이 요트 모형과 함께 전시됐다. 마린 에콰시옹 마샹 5887은 뚜르비옹·퍼페추얼 캘린더 등 여러 기능을 갖춘 그랜드 컴플리케이션 시계다. 케이스는 18K 플래티넘·로즈골드 소재로 크기는 43.9mm다. 이번 컬렉션에서 플래티넘을 사용한 시계는 이 피스가 유일하다. 케이스 밴드(옆면)는 플루팅(동전처럼 좁게 홈을 판 모양)으로 장식했다. 뒷면 케이스는 해군 문장 인그레이빙 장식이 들어갔다. 글라스는 반사 방지 기능이 있는 사파이어 크리스탈을 적용했다. 칼리버 581DPE 무브먼트를 사용해 파워 리저브는 80시간으로 긴 편이다. 이날 공개한 시계들은 컬렉션 최초로 물결무늬 기요셰로 장식하고 배의 키 모양을 본뜬 로터와 밴드 장식 등을 더했다. 로터는 시계태엽을 감는 회전판으로 쉽게 닳고 변형되는 부품 중 하나다. 하지만 이번 컬렉션에선 검은색 DLC 코팅을 통해 마모를 줄였다. 한편 마샹 5887 등 마린 컬렉션의 파란색 시계들은 인기가 많아 고객들이 오랜 시간 대기해 구매하는 경우가 잦다. 준비 물량에 대해 브레게 관계자는 “많아야 매장당 한 피스 정도”라며 “타 매장에서 가져오거나 스위스에 주문해 3개월 뒤에 받을 수 있다”고 답했다.
[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은행권 공동 결제시스템인 ‘오픈뱅킹(Open Banking)’ 구축이 완료되면 간편 송금 서비스 앱 ‘토스(Toss)’ 이용자들이 횟수 제한 없이 송금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는 15일 금융위원회·금융연구원 주최로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진행된 ‘오픈뱅킹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에 토론자로 참석해 “오픈뱅킹 구축으로 비용이 줄면, 현재 10회로 제한하고 있는 무료 송금 횟수를 무제한 무료로 전환할 것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토스의 경우 현재 개별 은행과 펌뱅킹 계약을 맺고 간편 송금 서비스를 제공 중인데, 건당 수수료가 400~500원에 달해 거래량이 늘수록 적자 폭이 늘어나는 구조다. 이에 토스는 계좌 송금에 대해 월 10회까지만 무료로 제공하고, 이후 건당 500원씩 비용을 부과하고 있다. 오픈뱅킹은 제3자에게 은행 계좌에대한 접근을 허용하고 결제망을 개방하는 제도로, 구축이 완료되면 건당 비용이 40~50원으로 떨어진다. 지난해 영업비용 993억원 가운데 지급수수료만 616억원(62%)을 쓴 토스 입장에선 이번 오픈뱅킹 구축이 상당한 호재다. 오픈뱅킹 추진 과정과 관련해선 “취지나 방향성 등은 모든 이해 관계자들이 잘 이해하고 있지만, 결국은 디테일에서 성패가 갈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용 업체의 ‘인증’, 리스크에 대한 ‘보증’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다른 참석자인 민응준 핀크 대표는 오픈뱅킹이 “소비자 중심의 금융시스템을 만들어 나가는 매우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핀크의 경우 금융지주(하나금융) 자회사로서 수익모델 구축이 어렵고 각종 규제가 많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은행권을 대표해 토론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이번 오픈뱅킹 구축에 공감하면서도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보안 측면에서 리스크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 이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정중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소장은 “오픈뱅킹을 먼저 도입한 영국, 홍콩, 호주 등은 핀테크 업체에 접근을 허용하는 범위가 상당히 제한적이었고, 단계적으로 개방했다”며 “이와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가히 ‘빅뱅’식 접근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전면적 개방”이라며 우려를 표시했다. 서춘석 신한은행 디지털그룹 부행장은 “편의성과 보안은 동전의 양면과 같아서 어떻게 균형있게 볼 것인지를 생각해 봐야한다”며 “은행이 보수적으로 접근한다며 비판하는 시각이 있지만, 소비자보호 문제도 있어 적절히 조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성권 한국은행 전자금융조사팀 팀장은 ‘시스템 리스크’를 강조했다. 오픈뱅킹의 네트워크 성격상 한 참여업체의 운영리스크가 전체 네트워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윤 팀장은 “핀테크업체는 금융에 대한 경험, 운영리스크 관리 능력, 전산인력 규모 등이 은행에 비해 열위하다”며 “이는 시스템 리스크 발생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등 자격 면에서 규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이번 오픈뱅킹 구축이 핀테크업체들만의 기회가 아닌 은행들에게도 큰 기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보안 부분의 우려에 대해선 추후 세미나 등을 통해 해소 노력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송현도 금융위 금융혁신과 과장은 “충분한 재무건전성과 보안 등 자격을 갖춘 업체들이 선별돼 (오픈뱅킹에) 들어와야 할 것”이라며 “다만 지금 오픈뱅킹 1단계에선 업체들이 은행을 통해 들어가기 때문에 은행에서 충분히 버퍼로써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금호아시아나그룹이 핵심 계열사인 아시아나항공을 매각하기로 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구주매각과 제3자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로 아시아나항공을 매각하는 대신 5000억원의 자금 지원을 채권단에 요청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15일 금호산업 이사회 의결을 거쳐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매각 주관사 선정,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등 적법한 매각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 경영정상화를 위한 최선의 방안을 고심한 결과 아시아나항공을 매각하는 것이 시장의 신뢰를 확실하게 회복하는 것이라 여겼다”며 “또한 30여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아시아나항공의 미래발전과 1만여 임직원의 미래를 생각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산업은행에 따르면 이날 오전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과 박세창 아시아나IDT 사장은이동걸 산업은행 회장과 면담을 진행한 뒤 아시아나항공 매각 의사를 전달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지난 10일 채권단에 제출한 자구계획안이 거절당하자 이날 수정안을 제시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제출한 수정 자구계획에는 구주매각 및 제3자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통해매각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아시아나항공 매각 관련 내용을 제외하면 기존 자구안과 동일하다. 금호 측은 아시아나항공의 매각을 즉시 추진하되 에어부산, 에어서울, 아시아나IDT 등 아시아나항공의 자회사도 함께 ‘통매각’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또 구주에 대해 드래그얼롱(동반매도요구권) 권리와 아시아나항공 상표권 확보 등을 포함하는 조건도 담았다. 특히 금호 측은 유동성 문제 해소를 위해 5000억원 규모의 자금 지원을 요청하는 대신, 박삼구 전 회장과 배우자, 장녀가 보유한 금호고속 지분(13만 3990주·4.8%) 전량을 담보로 제공하기로 했다. 또 금호타이어 담보지분 해지 시 박삼구‧박세창이 보유한 금호고속 지분 119만 7498주(42.7%)를 담보로 설정한다. 금호산업도보유하고 있는 아시아나항공 지분 6868만 8063주(33.5%) 전량을 담보로 제공한다. 금호산업은 아시아나항공의 최대주주다. 뿐만 아니라 박 전 회장이 경영 복귀를 하지 않겠다는 내용도 수정안에 포함됐다. 이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은 매각 종결까지 한창수 현 대표이사가 경영을 맡을 예정이다. 이 밖에 수익성 개선을 위한 기재 축소와 비수익 노선 정리 및 인력 생산성 제고 등도 채권단에 약속했다. 산업은행관계자는 “금호 측이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포함한 수정 자구계획을 제출했다”며 “수정안 검토를 위해 채권단 회의를 개최하는 등 관련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금호고속-금호산업-아시아나항공-아시아나IDT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 그룹 전체 연간 매출의 60%를 차지하는 금호타이어에 이어 아시아나항공까지 떨어져 나가면 그룹의 몸집은 중견그룹으로 축소될 전망이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 앞으로 포털 입점을 위한 뉴스콘텐츠제휴(일명 CP제휴) 심사를 1년에 2번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뉴스(검색)제휴 심사를 담당하는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심의위원회(이하 뉴스제휴평가위)’는 지난 12일 회의를 열고 2019년 뉴스제휴 심사 일정을 확정했다. 2019년 상반기 뉴스 제휴 신청은 오늘(15일)부터이달 28일까지 네이버와 카카오 양사 온라인 페이지를 통해 진행된다. 서류 검토를 거쳐 5월 중 평가가 시작되며, 심사기간은 최소 4주에서 최장 10주로 규정에 명시돼 있지만 신청 매체의 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신청 자격은 신문사업자, 정기간행물사업자, 방송사업자, 인터넷신문사업자, 뉴스통신사업자,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로 인·허가를 받은 후 1년이 지난 매체 혹은 등록한 이후 1년이 지난 매체다. 다만, 뉴스콘텐츠 제휴는 ‘포털사’에 ‘뉴스검색제휴’로 등록된 후 6개월이 지난 매체만 신청 가능하다. 이번 평가부터 지난 3월 개정한 심사 규정에 명시된 평가기준과 배점을 적용한다. 정성 평가는 기존의 ▲발행기간 ▲기사생산량 ▲자체기사 ▲기술적 안정성에서 ▲기사생산량 ▲자체기사량 ▲윤리적 실천의지로 개정됐다. 정성 평가 저널리즘 품질요소는 ‘가치성/중요성, 정확성/균형성, 전문성, 자체기사 생산’에서 ‘사회적 가치성, 보도의 공정성·정확성·객관성, 보도의 전문성, 기사 생산 체계의 적절성’으로 개정됐다. 정성 평가 중 윤리적 요소는 실천의지, 권익침해/저작권, 광고윤리, 선정성에서 기사윤리, 광고윤리, 선정성으로, 정량 평가 수용자요소는 이용자요소로 개정됐다. 또한, 정량평가 20%, 정성평가 80%로 배점을 조정했다(기존에는 각각 30%, 70%). 정성평가의 상위 평가항목인 저널리즘 품질요소, 윤리적 요소 중 1개 항목 이상 영역에서 평가위원 과반수로부터 최저 점수 이하를 받게 되면 총점과 상관없이 제휴 대상에서 제외된다. 평가항목별 최저 점수는 저널리즘 품질요소 16점, 윤리적 요소 12점이다. 뉴스 제휴 평가는 위원들의 심사 점수 중 최고점수와 최저점수를 제외한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뉴스콘텐츠제휴는 80점, 뉴스스탠드제휴는 70점, 뉴스검색제휴는 60점 이상인 경우 통과가 가능하다. 평가는 매체당 최소 9명의 위원이 참여하는 평가팀을 구성해 실시하고,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평가 매체는 무작위로 배정된다. 평가가 끝나면 각 매체에 이메일로 결과가 전달된다. 이번 2019년 상반기 ‘뉴스콘텐츠제휴’ 심사에서 탈락한 매체의 최종 평가 점수가 탈락한 매체 기준 상위 10%에 해당하고, 75점 이상인 경우에는 2019년 하반기 ‘뉴스콘텐츠제휴’ 심사에 연이어 신청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매체사명과 최종 점수는 별도로 공개하지 않으며, ‘뉴스제휴평가위’가 각 포털사를 통해 해당 매체사에 개별 안내한다. 뉴스 제휴 심사 관련 정량·정성 평가 등 개정 내용은 각 포털에서 열람 가능하며, 뉴스제휴평가위 사무국(mpec@navercorp.com, mpec@kakaocorp.com) 으로 문의할 수 있다. 한편, 뉴스제휴평가위는 지난달 15일 제4기 심의위원회 위원장단을 새롭게 구성했다. 위원장은 임장원 위원(한국방송협회 추천)이 선출됐으며, 제1소위 위원장은 이율 위원(대한변호사협회 추천), 제2소위 위원장은 김상규 위원(한국인터넷신문협회 추천)으로 각각 정해졌다. 제4기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심의위원회는 제휴 평가의 투명성 강화, 제3자 기사 전송 규정 및 비율 기반 벌점 체계 정리, 신종 광고 제재 등을 핵심 과제로 삼아 진행할 예정이다. 임장원 제4기 위원장은 “건강한 저널리즘을 추구하는 매체들이 독자들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갈 수 있도록 심의위 활동의 합리성과 투명성을 높일 것”이라며 “광고성 기사 등에 대한 제재 심사 규정을 뉴스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도록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오리온이 ‘K스낵’ 열풍을 타고 거침없는 질주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창사 이래 연매출 첫 3조원을 돌파했고 올해 상반기도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 중입니다. 초코파이를 필두로 메가 브랜드들이 전 세계에서 고르게 활약한 덕분입니다. 해외 시장 성장세에 힘입어 오리온은 ‘매출 5조원, 영업이익 1조원’ 달성을 중장기 목표로 내걸었습니다. 다만, 오리온이 글로벌 식품 기업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하려면 구조적 한계를 뛰어넘는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소비가 둔화하는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고 제품 포트폴리오 역시 초코파이에 편중돼 있기 때문입니다. ‘넥스트 차이나, 포스트 초코파이’를 발굴해 글로벌 무대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는 게 오리온의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겁니다. 오리온 최대 시장 중국, 소비 둔화 직면..‘넥스트 차이나’ 고민 30일 업계에 따르면 오리온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6.6% 오른 3조1043억원을 기록해 이른바 ‘매출 3조 클럽’에 가입했습니다. 영업이익은 5436억원으로 전년보다 10.4% 증가했습니다. 연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조원, 5000억원을 넘긴 건 지난해가 처음입니다. 올해 상반기 역시 반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1조5856억원)을 내며 순항 중입니다.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설탕·카카오 등 원재료 가격 폭등 여파에도 오리온 실적을 떠받친 건 해외법인입니다. 오리온은 지난 1993년 중국 북경 현지사무소 개설을 시작으로 현재 5개국에 18개의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지난해 법인별 매출은 중국 1조2701억원, 한국 1조976억원, 베트남 5145억원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해외법인 매출 비중은 65%를 넘어섰습니다. 중국은 오리온 그룹 전체 매출의 40%, 해외법인 중에서는 63% 비중을 차지하는 핵심 시장입니다. 중국에 일찌감치 진출한 오리온은 1700여개 경소상과 거래해 간접영업체계를 정착시키고 현금 결제 시스템을 구축해 성장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오!감자 토마토맛’, ‘꼬북칩 마라새우맛’ 등 현지화에도 공을 들인 결과 2011년 이후 중국에서 10차례 이상 브랜드 파워 지수 1위에 올랐습니다. 문제는 최근 중국 소비 시장이 둔화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세계은행·맥킨지 등에 따르면 올해 중국 소비 증가율(예상치)은 2.4%로 GDP 증가율(4~5%) 대비 턱없이 낮은 실정입니다. 소비 판매도 매월 등락을 반복하며 저성장 정체 흐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올 2분기 오리온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0.4% 줄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중국 시장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한국 식품·소비재 기업들이 중국 시장 의존도를 조정하고 새로운 성장 거점을 찾는 흐름과 맞닿아 있습니다. 국내 주요 식음료 기업 중 중국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오리온이 해외 법인을 중심으로 기존 시장 경쟁력 확대와 신규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대신, 급성장 중인 베트남과 러시아 시장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오리온은 러시아에서 6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를 지키고 있으며 베트남에서 초코파이는 시장 점유율이 60%에 달합니다. 포트폴리오 다변화 시도는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2020년 48%에 달했던 중국 매출 비중은 지난해 41%로 줄어든 반면 같은 기간 베트남은 12→16%, 러시아는 4→7%로 늘었습니다. 초코파이 ‘글로벌 1등 K스낵’이지만 신라면·불닭볶음면 절반 수준 오리온은 연매출이 1000억원을 넘는 일명 ‘메가 브랜드’를 9개 보유하고 있습니다. 1등은 단연 초코파이입니다. 오리온 초코파이는 1974년 출시 이후 누적 판매량 500억개, 누적 매출 8조원을 넘기며 세계인이 즐기는 대표 K스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현재 60개국에서 총 24종의 초코파이가 판매되고 있습니다. 단일 브랜드로 글로벌(국내외) 연매출이 5000억원을 넘기는 제품은 손에 꼽힙니다. 대표적으로 CJ제일제당 비비고만두가 1조2000억원 이상, 농심 신라면이 1조2000억원 이상,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이 약 1조원 이상을 벌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 뒤를 초코파이가 잇고 있습니다. 지난해 초코파이 글로벌 매출은 5827억원으로 6000억원에 육박했습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성장축 발굴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실제 오리온의 메가 브랜드 2위인 오감자 연매출은 2840억원으로 초코파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합니다. 그마저도 2000억원 이상이 중국 매출입니다. 스윙칩(1930억원), 예감(1500억원) 등 글로벌 매출도 1000억원 이상이 중국에서 나옵니다. 오리온은 최대 시장인 중국은 고성장 채널 위주로 제품 출고를 늘리는 한편 베트남과 러시아, 인도 등에는 현지인 입맛을 반영한 초코파이를 선보이며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초코파이 외 다른 제품들도 판매량을 높여 메가 브랜드 라인업을 넓힌다는 게 오리온의 구상입니다. 미국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는 꼬북칩도 ‘포스트 초코파이’의 유력 후보입니다. 초코파이 매출은 해마다 늘고 있지만 국가별 비중은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 2024년 사이 초코파이 글로벌 매출에서 중국 비중은 46%에서 33%로 줄었고 한국 비중도 19%에서 16%로 떨어졌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베트남 비중은 19%에서 21%로, 인도는 1%에서 3%로 증가했습니다. 특히 러시아에서의 성장세가 가파릅니다. 오리온은 모든 법인 중 러시아에서 가장 많은 12종의 초코파이를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초코파이 매출에서 러시아 비중은 2020년 16%에서 지난해 28%로 두 배 가까이 커지며 중국(33%)과 대등한 수준까지 올라왔습니다. 차와 케이크를 즐기는 러시아에서 초코파이는 말 그대로 ‘없어서 못 팔 지경’입니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오리온 하면 대표적으로 떠오는 게 초코파이인데 글로벌 회사라고 얘기하려면 특정한 브랜드 하나만 가지고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다른 제품들도 함께 키워 제2의 초코파이와 같은 브랜드가 나오기를 바랄 것이고 그에 맞춰 전략을 짜는 게 오리온의 과제이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습니다. 국내외 생산시설 구축에 8300억 투자..성장 열쇠는 역시나 ‘해외’ 오리온은 늘어나는 K스낵 수요에 맞춰 생산능력 확대에 주력할 방침입니다. 향후 2년 내 글로벌 생산시설 구축에만 8300억원을 투자합니다. 국내에는 4600억원을 들여 2027년 6월까지 충북 진천에 생산·포장·물류가 통합된 진천통합센터를 세웁니다. 완공 시 국내 생산능력은 최대 2조3000억원까지 늘어납니다. 베트남에는 하노이 옌퐁공장 내 신공장동을 완공하고 쌀 스낵 생산 라인 증설에 나섭니다. 제3공장에는 1300억원을 투자해 생산능력을 지금보다 20% 수준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초코파이, 생감자 스낵에 이어 올해 쌀과자 시장 점유율 1위로 꿰찬다는 각오입니다. 러시아의 경우 올 1분기 기준 공장 가동률이 120%를 넘어섬에 따라 트베리 공장 내 새로운 공장동을 건설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총 투자 금액은 2400억원 규모로 파이·비스킷·스낵 등 16개 생산라인을 증설합니다. 완공 시 연간 생산량은 현재의 2배인 7500억원 수준까지 확대될 전망입니다. 인도에는 100억원을 투자해 초코파이 생산라인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오리온 관계자는 “전 세계인 모두가 오리온 초코파이를 고유의 맛뿐만 아니라 정서적 가치까지 즐기는 제품으로 키워나가는 중”이라며 “꼬북칩, 알맹이젤리 등 각국 소비자 취향에 맞춘 다양한 맛과 식감의 제품도 선보이며 초코파이를 잇는 글로벌 브랜드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아랍에미리트(UAE) 원자력공사와 손잡고 글로벌 원자력 시장 공략에 나섭니다. 삼성물산은 지난 29일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 호텔에서 UAE원자력공사(ENEC)와 글로벌 원자력 발전 개발 및 투자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이날 협약식에는 모하메드 알 하마디 UAE원자력공사 CEO와 오세철 삼성물산 대표이사 사장을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삼성물산의 원전과 인프라 분야 사업 수행 역량, UAE원자력공사의 원전 운영 경험이 결합돼 글로벌 시장에서 시너지 창출이 기대됩니다. 협약의 주요 내용에는 ▲글로벌 시장 신규 원전 건설, 재가동, 기존 부지 M&A 등 원전 프로젝트 협력 ▲글로벌 시장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사업 투자와 개발 협력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시장 원자력 기반 수소 생산 사업 협력 ▲원자력 서비스, 장비 업체 투자 등이 포함됐습니다. 양사는 이러한 협력을 토대로 전략적 협력 로드맵을 마련하고, 전 세계 원전 생태계에서 공동 입지를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UAE원자력공사는 성명서를 통해 “원자력 에너지는 급증하는 글로벌 전력 수요를 충족하는 핵심 공급원이 될 것”이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글로벌 차원의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을 위한 원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양사의 기술력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협력 성과를 만들어내겠다”고 전했습니다. 한편 삼성물산은 지난 4월 루마니아 원전 1호기 설비 개선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며, 뉴스케일·플루어 등과 함께 루마니아 SMR 기본설계(FEED)를 진행 중입니다. 또한 스웨덴, 에스토니아 등에서도 SMR 사업 확대에 나서며 글로벌 원자력 사업에서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UAE원자력공사는 약 40조원을 투자해 아부다비 인근 바라카 지역에 한국형 원전 4기를 성공적으로 건설·운영한 바 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LG에너지솔루션[373220]은 5조9442억원 규모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30일 공시했습니다. 수주 일자는 지난 29일이고 계약 기간은 오는 8월 1일부터 3년간이다. 이번에 맺은 공급 계약액 규모는 지난해 매출 25조6000억원 대비 23.2%에 해당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경영상 비밀유지 필요에 따라 고객사를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업계에서는 이번 계약이 테슬라와 성사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지난 1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관세 등에 따라 중국이 아닌 미국 내 기업으로 LFP 배터리 공급처를 찾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 배터리 기업 중 미국 내 가장 많은 생산기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오하이오주, 테네시주, 미시간주에 법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이 북미에서 생산하는 LFP가 에너지저장장치(ESS)밖에 없는 만큼, 이번 공급 물량도 LFP ESS일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3월 테슬라, 애플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는 글로벌 에너지 관리 업체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4GWh 규모의 주택용 ESS 배터리 계약을 체결하는 등 ESS 수주에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실제로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2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중국 배터리 기업들과 경쟁과 관련해 "전기차 배터리의 공간을 ESS 매출 성장을 통해 달성해 하반기에는 의미 있는 수익 개선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계약은 해당 공급 이외에도 고객과의 협의에 따라 총 계약기간을 7년까지 연장하고, 이에 해당하는 물량을 추가 공급할 수 있는 계약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계약금액 및 계약기간 등의 조건은 추후 변동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서울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유남규, 올림픽 은메달과 아시안게임 2연패에 빛나는 여홍철, 소치와 평창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심석희 등 역대 스포츠 스타들이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교보생명 꿈나무체육대회를 찾았습니다. 이들은 꿈나무체육대회와의 특별한 인연을 바탕으로 무더위에도 꿈을 향한 열정으로 굵은 땀방울을 흘리는 후배 체육 꿈나무를 응원하기 위해 대회 현장을 방문했습니다. 교보생명은 29일 경북 상주시 실내체육관에서 ‘제41회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 탁구 종목 개회식을 개최했습니다. 개회식에는 유남규 대한탁구협회 실무부회장, 정영식 세아탁구단 감독 외에도 오상철 상주시 부시장, 허철 한국초등학교탁구연맹 회장, 장진모 교보생명 전무, 김중호 교보생명 대구권역담당 등이 참석했습니다. 한국 탁구 레전드 유남규 부회장은 후배 꿈나무들을 응원하기 위해 상주시까지 한걸음에 달려왔습니다. 그의 딸인 유예린 선수는 2017년과 2018년 꿈나무체육대회에 출전해 2연패를 이뤘으며, 한국 여자 탁구를 이끌어갈 차세대 에이스로 꼽힙니다. 지난해 11월 국제탁구연맹 세계청소년선수권대회 19세 이하(U-19) 여자 단체전에서 한국의 사상 첫 우승에 앞장섰습니다. 유 부회장은 “유승민 대한체육회장, 신유빈 선수 등 많은 선수들이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를 거쳐 국가대표로 성장했다”며 “40여년간 대회를 후원해준 교보생명에 대한탁구협회 부회장으로서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이어 “꿈나무체육대회는 국가대표의 꿈을 키우고 세계적인 선수로 나아가는 발판이 되기 때문에 초등학생 선수들은 목표의식이 생기고 대회를 손꼽아 기다린다”며 “앞으로도 교보생명이 꿈나무체육대회를 꾸준히 후원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꿈나무체육대회 출신으로 세계 무대를 호령한 스포츠 스타들이 직접 후배 꿈나무들을 응원하기 위해 대회장을 찾기도 했습니다. 23일부터 닷새간 빙상 경기가 열린 충남 아산시 이순신빙상장에는 쇼트트랙 심석희∙이소연, 피겨스케이팅 이재근∙이해인 등 국가대표 선수들이 사인회를 열고 후배 꿈나무들과 뜻깊은 만남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특히 평창올림픽에서 쇼트트랙 여자대표팀 주장으로 3000m 계주 우승을 이끈 심석희 선수는 지난 2008년 둔촌초등학교 5학년 재학 당시 꿈나무체육대회에서 특출난 실력을 뽐내며 최우수 선수로 선발되기도 했습니다. 내달 7일부터 충북 제천체육관에서 열리는 체조 종목에는 체조 요정 여서정 선수의 아버지인 여홍철 대한체조협회 전무이사가 방문해 유망주들에게 힘을 실어줄 예정입니다. 대한민국 최초 부녀(父女) 올림픽 메달리스트의 역사를 쓴 여홍철 전무이사와 여서정 선수는 꿈나무체육대회에 참가해 꿈을 키웠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여서정 선수는 초등학교 2학년 때 처음 이 대회에 출전하며 체조 재미에 빠져 올림픽 메달리스트로 성장했습니다. 지난 12일 육상을 시작으로 내달 10일까지 열리는 이번 대회는 반환점을 돌며 열기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서천∙아산∙상주∙김천∙제천 일원에서 육상, 유도, 빙상, 탁구, 테니스, 수영, 체조 등 7개 종목에 초등학생 선수 4000여명이 참가해 선의의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꿈나무들은 그동안 갈고 닦은 기량을 마음껏 펼치며 한국 스포츠의 미래를 밝게 했습니다. 지난 12일 충남 서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육상 종목에서는 대회 신기록이 5개나 쏟아졌습니다 ◇ 41년간 민간 유일 유소년 전국종합체육대회 개최…스포츠 리더 육성 장학사업도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는 민간에서 개최하는 국내 유일의 유소년 전국종합체육대회입니다. 교보생명은 체육 꿈나무를 조기에 발굴∙육성하고 기초 종목을 활성화하기 위해 1985년부터 대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대회를 거쳐간 선수는 15만5000명이 넘고 이중 국가대표로 활약한 선수는 500여명에 이릅니다. 이들이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등에서 획득한 메달은 200여개가 넘습니다. 명실상부한 ‘메달리스트의 산실’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빙상의 최민정, 이상화를 비롯해 육상의 우상혁, 탁구의 유승민, 신유빈, 체조의 여서정, 양학선, 수영의 박태환, 김서영, 유도의 최민호, 송대남, 테니스의 권순우, 정현 등이 대표적입니다. 교보생명이 기초종목 후원에 41년째 정성을 쏟는 이유는 남다른 인재육성 철학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신용호 교보생명 창립자는 '국민교육진흥'을 창립이념으로 세계 최초 교육보험을 창안하고 교보문고를 설립했습니다. 꿈나무체육대회도 ‘교육이 민족의 미래’라는 신념을 실천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어릴 때부터 건강한 체력을 길러야 인격과 지식도 마음껏 키울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교보생명은 전했습니다. 이러한 인재육성 철학은 2세인 신창재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에게 고스란히 이어졌습니다. 외환위기로 생존을 걱정해야 할때도 대회를 이어오며 한국 스포츠 발전을 묵묵히 지원하고 있습니다. 신 의장은 지난해 꿈나무체육대회 40년 홈커밍데이에서 "체육 꿈나무들이 페어플레이 정신을 늘 마음속에 새기고 실천하며 성장함으로써 올바른 스포츠정신을 우리 사회에 널리 퍼뜨리는 진정한 리더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더욱 많은 학생들이 선수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교보생명도 계속 지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교보생명은 올바른 인성과 리더십을 갖춘 스포츠 리더를 키우기 위해 2019년부터 '교보 체육꿈나무 육성 장학사업'도 펼치고 있습니다. 장학생으로 선발된 유망주에게는 중·고등학교 6년동안 해마다 장학금 200만원을 지급합니다. 이 기간 중 국가대표로 뽑혀 국제대회에서 입상한 경우 별도의 장학금도 전달합니다. 현재에도 꿈나무 장학생들은 각 종목에서 발군의 실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승원 선수(용인 구성중3)는 지난 5월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수영 여중부 배영 50m 결승에서 27초71의 한국 신기록을 작성하는 등 대회 4관왕에 오르며 수영 종목 최우수선수(MVP)로 선정됐습니다. 이현지 선수(제주 남녕고3)는 지난해 주니어 세계선수권대회를 우승한데 이어 올해 6월 열린 '2025 유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