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AI(인공지능)·NFT(대체불가토큰)·신세계 애플리케이션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기존의 오프라인 마케팅을 고도화해 나가겠다."
손영식 신세계 대표는 23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열린 제66기 정기주주총회 인사말에서 이같이 말하며 디지털 이노베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날 손 대표는 "코로나 이후의 리오프닝에 따른 기저효과는 현저히 줄어들고, 장기 불황을 예고라도 하듯 소비심리의 위축과 더불어 금리·물가 등의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소비환경과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는 고객의 가치와 소비 트랜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손 대표는 올 한해를 도전 과제로 규명하며 신세계가 고객이라는 가치에 집중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그는 "오프라인 리테일의 강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디지털 이노베이션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며 "맴버십, 기프트, 결제 서비스 등 고객편의 개선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퓨처 리테일의 모습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올해 안정적인 수익 확보에도 주력합니다. 자원의 전략적·효율적 집행을 통해 선제적으로 위기관리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자금조달 및 투자 우선순위 결정 등 캐시플로우를 개선하고 업무 프로세스상 효율화를 도모하는 게 주된 내용입니다.
기업 경영의 핵심요소로 ESG경영을 언급했습니다. 손 대표는 "우리의 비즈니스는 항상 고객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ESG 경영은 브랜드 이미지를 굳건하게 할 수 있는 또 다른 기회 요소"라며 "20여년간 축적해온 ‘신세계 윤리경영’을 밑거름 삼아 ESG의 구체적인 실행 플랜으로 확대해 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기확보된 부지에 대한 신규 프로젝트의 플랜을 확정하고 수익성과 성장성 측면에서 경쟁을 압도할 수 있는 전략들을 빈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신세계는 이날 주총에서 공정거래위원회 출신 곽세붕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과 강경원 전 감사원 제1사무차장, 김한년 전 부산지방국세청장 등을 사외이사로 선임했습니다. 외국인 임원에게는 별도의 서면 약정을 통해 퇴직금 지급 규정을 적용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조항도 관련 규정에 추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