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KT가 국내 이동통신사 최초로 5세대(5G) 이동통신 단독모드(SA)를 상용화했습니다. 해당 기술은 롱텀에볼루션(LTE) 주파수와 혼용하던 기존 5G 서비스와 달리 5G 주파수만을 사용해 지연시간을 줄입니다. 초저지연 특성이 필요한 자율주행과 스마트 공장 등 기술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KT(대표 구현모)가 15일부터 5G SA 상용서비스를 시작했다고 이날 밝혔습니다. 5G SA는 우선 삼성전자 갤럭시 S20, S20+, S20 울트라 등 단말 3종에서 제공합니다. 단말 메뉴에서 ‘설정-소프트웨어 업데이트-다운로드 및 설치’ 후 1회 더 재부팅하면 전환됩니다.
SA는 5G망만 단독 사용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현행 비단독모드(NSA)보다 한 단계 진화한 기술 방식으로 평가됩니다. SA는 NSA보다 배터리를 오래 사용하고, 빠른 반응속도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삼성전자 갤럭시 S20+ 단말로 SA와 NSA간 배터리 사용시간을 비교한 결과 SA(13시간 38분)는 NSA(12시간 32분)보다 최대 1시간 6분(8.8%)을 더 오래 쓰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LTE에 비해 촘촘하게 구축되는 5G 기지국 특성을 활용해 SA에서는 관련 기관 협의와 시스템 개발을 거쳐 올해 연말부터 더욱 정교한 재난문자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LTE 기지국 기반 재난문자와 달리 불필요한 인근 지역 정보가 아닌 위치한 지역 재난문자만 제공하게 됩니다.
5G 서비스 개시 후 2년 3개월여 만에 상용화되는 SA는 5G 스마트폰 이용자뿐 아니라 다른 산업에 5G가 적용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KT는 예상했습니다. KT는 5G SA 상용화에 이어 네트워크 슬라이싱과 같은 차별화 기술을 바탕으로 5G 융합서비스 개발에 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영인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 상무는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5G를 제공하기 위해 SA 서비스를 준비했다”며 “KT는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서 코로나 위기 극복과 디지털 뉴딜 추진에 기여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