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금융당국이 신규 인터넷전문은행 인가 신청을 앞두고 주요 인가심사 기준에 대한 설명회를 개최했다. 신규 인터넷전문은행 진출이 유력했던 네이버는 이번 설명회에 불참했다.
23일 금융위원회(위원장 최종구)와 금융감독원(원장 윤석헌)은 작년 12월 발표한 ‘인터넷전문은행 신규인가 추진방안’에 따라 인터넷전문은행 인가심사 설명회를 금감원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총 55개 기업·단체가 참가 신청을 했고, 참가 인원은 120명이다. 주로 금융회사(21개)와 핀테크기업(13개) 위주로 참가한 가운데 법무법인(5개), 회계법인(3개), 시민단체(3개) 등에서도 참석했다.

금융당국이 제시한 법규상 인가심사 기준은 ▲자본금 및 자금조달의 안정성 ▲대주주 및 주주구성계획 ▲사업계획 ▲발기인 및 임원의 적격성 ▲인력·영업시설·전산체계 및 물적시설 등 총 5개다.
이밖에 추가 고려요소로는 ▲예측수준 초과 자금 필요 때 자본조달방안 ▲주주구성이 금융·정보통신기술 융합 촉진 기여 ▲사업계획의 특성(혁신성·포용성 등) 등을 제시했다.
금융당국은 지난 2015년 예비인가 당시 평가 배점표의 틀을 가급적 유지할 계획이다. 다만, 인터넷전문은행 신규인가 추진방안에 따라 주주구성·사업계획의 혁신성·포용성·안정성 등을 중점 평가할 수 있도록 일부 평가 항목의 배점을 조정하기로 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그간 온라인 Q&A 페이지에 접수된 문의, 인가심사 설명회에서 수렴된 의견 등을 바탕으로 1월말 평가 배점표를 발표하고, 2월 중 새로운 인가매뉴얼을 게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3월 중 본격적인 예비인가 신청을 받아 5월 중 최종결과를 발표할 방침이다. 특별한 사정이 발생하지 않는 한, 오는 2020년 상반기 중 제3의 인터넷전문은행이 공식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