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기본 분류

미국·유럽·일본, 인터넷전문은행 현황은?

URL복사

Monday, January 12, 2015, 00:01:46

美 상업은행 총자산 대비 3.1%..보험硏 "2000년대 중반이후 성장세 가속"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 인터넷을 주요 영업망으로 활용하는 인터넷전문은행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 인터넷은행은 실물 점포가 없어 운영비나 인건비가 대폭 줄어든다. 따라서 기존 은행보다 예금 금리는 높이고, 대출 금리는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금산분리 규정은 유연하게 적용될 것으로 보이지만 보험사를 비롯해 증권, 카드회사 등 산업자본의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 허용여부는 논란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외국의 경우, 인터넷전문은행의 현황은 어떨까?

 

11일 보험연구원이 발간한 국내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 논의와 정책적 제언에 따르면 미국·유럽·일본의 인터넷 전문은행은 IT발전, 거래금융의 보편화와 금융전업주의의 완화로 금융업권간 융합, 산업자본과 금융의 융합을 촉진하고 있다.

 


유형별로는 은행과 산업자본이 결합한 형태 비은행금융회사가 설립한 형태 산업자본이 설립한 형태로 구분된다. 미국에서는 보험·증권 등 비은행 금융회사와 자동차회사가 설립한 경우가 많고, 유럽과 일본에서는 은행들이 설립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 영국의 ‘HSBC Direct’, 스페인의 ‘ Open Bank Santander Consumer는 은행이 설립한 사례다. 일본의 ‘Sony Bank’, ‘SBI Sumishin Net Bank’, ‘Japan Net Bank’, ‘Jibun Bank’ 등은 은행이 산업자본과 결합해 설립한 인터넷 전문은행이다.

 

미국의 보험회사인 Principal Financial Group이 설립한 Nationwide Bank, 네덜란드의 ING가 설립한 ING Direct 등은 은행 금융회사들의 사업다각화와 고객서비스 제고를 위해 만든 인터넷 전문은행이다.

 

이중 ‘Principal Bank’는 설립 초기에는 일반 대중을 상대로 마케팅을 시작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기존 은행과의 경쟁이 어렵다고 판단, 모그룹 금융네트워크를 통한 마케팅 서비스에 주력하고 있다. ING Direct는 지난 2007Capitla One에 인수됐다.

 

전반적으로 해외에서 인터넷 전문은행의 성장세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의 경우 2001년 인터넷 전문은행의 총자산 비중은 전체 상업은행 총자산 대비 0.11%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해 3월 기준 인터넷 전문은행의 총자산은 4400억달러로 전체 상업은행 총자산 대비 3.1% 수준으로 성장했다.

 

같은 기간, 일본은 3월 현재 인터넷 전문은행의 총자산은 8.5조엔, 총예금은 7.5조엔으로 전체 일본 은행의 총자산, 총예금 대비 각각 0.9%, 1.1%임 수준이다. 2012년 당기순이익은 4.3조 엔으로 전체 일본 은행 당기순이익 대비 1.4%를 차지했다.

 

보험연구원은 인지도와 신뢰도 제고, 모기업의 고객을 대상으로 한 영업 등 차별화된 서비스 전략으로 인터넷 전문은행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다“2000년대 중반 이후 인터넷 전문은행의 성장세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문정태 기자 hopem1@inthenews.co.kr

배너

삼성생명 “실패해도 행복하면 괜찮아” 메시지에 2030 열광

삼성생명 “실패해도 행복하면 괜찮아” 메시지에 2030 열광

2025.07.20 23:04:4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삼성생명(대표이사 사장 홍원학)은 공식 유튜브 채널 구독자가 연초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26만1000명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습니다. '보험을 넘어서는 보험'이라는 슬로건에 아래 기존 보험 콘텐츠 틀에서 벗어나 젊은 세대 삶과 정서에 깊이 공감하는 메시지를 담아낸 결과라고 삼성생명은 의미를 부여합니다. 올해 2분기부터는 '젊음과 가능성이 길어진 시대에 맞춰 개인의 도전과 성장을 응원하는 보험'이라는 메시지를 전면에 내세우며 슬로건에 담긴 브랜드 철학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보험상품과 보장에 대한 단순안내를 넘어 시대변화에 따라 재정의된 보험의 역할과 의미를 콘텐츠에 담아내고 있는 것입니다. 시대적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콘텐츠에 2030세대도 적극 화답하고 있습니다. 연초 12만명에 머물던 삼성생명 공식 유튜브 채널 구독자는 7개월여만에 26만명을 돌파했습니다. 유튜브 콘텐츠 관련 상호작용(좋아요·댓글·공유등)은 700여건에서 8000여건으로 11배가량 큰폭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삼성생명 공식 인스타그램 채널 팔로워는 연초 대비 2배 이상 늘어나 9만명을 넘었고 콘텐츠에 대한 반응(좋아요·댓글·저장등) 또한 30%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같은 성과의 중심에는 유튜브 웹예능 '망중왕전'이 있다고 삼성생명은 설명합니다. 망중왕전은 '망해야 우승하는 오디션'이라는 역발상에 토대를 둔 콘텐츠입니다. 다양한 실패를 겪은 참가자 사연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최종우승자는 100만원의 '갱생지원금'을 받습니다. '실패해도 괜찮다'는 시대적 정서를 위트있게 반영해 젊은세대 구독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길거리 인터뷰를 통해 세대간 공감을 이끌어내는 '과거의 오늘 뭐하셨나요', 2030세대 딸의 시선으로 보험설계사 엄마의 하루를 담은 '내일은 FC', 금융상식을 알아보는 게릴라 퀴즈쇼 '보험 들고 챌린지', AI 캐릭터를 활용해 일상생활과 관련된 보험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하는 '궁금해리 알려달리' 등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를 선보이며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삼성생명 '별리' 캐릭터를 활용한 인스타그램 콘텐츠도 브랜드 정체성을 2030세대에 더욱 가깝고 친숙하게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랜덤 음료 뽑기', '직장인 명언시리즈' 등 직장인의 일상과 감정을 유쾌하게 풀어낸 콘텐츠는 수차례 공유되며 높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보험이라는 어려운 주제를 젊은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 언어로 쉽게 풀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고객 일상에 응원과 감동을 전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라이프파트너'로서 삼성생명의 이미지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