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KB금융그룹은 ‘ESG리더십’을 그룹 경영전략의 한 축으로 선정하고 ESG경영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기업 최초로 그룹 탄소중립 추진 전략인 ‘KB Net Zero S.T.A.R.’에 대한 SBTi(Science-based Target Initiative) 승인을 획득하고, ‘KB Green Wave 2030’ 등 주요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통해 친환경 금융 생태계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KB금융그룹은 지난 2020년 금융권 최초로 ESG 부문을 총괄하기 위한 ESG위원회를 신설했습니다. ESG위원회는 기후변화 관련 이슈를 포함해 ESG상품·투자·대출 규모 및 온실가스 배출 감축 활동 성과 등을 모니터링 하고 있습니다.
KB금융그룹의 ‘KB Net Zero S.T.A.R.’는 내부 배출량 및 자산 포트폴리오 배출량의 넷제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내부 배출량은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42% 감축 및 2040년 넷제로 달성이 목표라고 전했습니다.
자산 포트폴리오 배출량은 오는 2030년까지 지난 2019년 대비 33.3% 감축, 2050년 넷제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습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 친환경 전환 지원 ▲녹색금융 투자 확대 ▲자산포트폴리오 관리 ▲직접 감축 및 RE100 확대의 네가지 포지티브 방식에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녹색금융 부문에서 'KB Green Wave 2030' 전략을 바탕으로 오는 2030년까지 ESG 상품·투자·대출 규모를 50조원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입니다. 신재생에너지 PF, 녹색채권 인수 및 주선 등을 통해 목표를 달성한다는 계획입니다.
KB금융그룹의 ESG상품·투자·대출 규모는 지난 2019년 19조9500억원 규모에서 지난해 25조1600억원까지 증가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환경 부문이 2019년 7조6300억원에서 지난해 11조7100억원으로 확대됐습니다.

이외에도 KB금융그룹은 고객의 친환경 실천 장려를 위해 'KB Green Wave 1.5℃' 금융상품을 선보였습니다. 국민은행의 ▲KB Green Wave 1.5℃ 정기예금 KB국민카드의 ▲KB Green Wave 1.5℃ 금융상품 카드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KB금융그룹은 가입 고객이 친환경 활동을 실천할 경우 우대이율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상품 가입과 연계해 학교숲 조성사업, 전기차 충전소 설치 사업 등을 위한 기부금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은 "ESG로의 길은 미래의 생존에 대한 문제"라며 "앞으로 KB금융그룹은 KB만의 차별화된 ESG 경영 실천을 통해 우리가 포함한 전 세계가 ‘더 나은 세상’으로 가는 길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