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lectronics 전기/전자

[환경경영 보고서] LG전자, 제품 생산부터 폐기까지…핵심은 ‘친환경’

URL복사

Thursday, September 15, 2022, 09:09:00

9주년 창간기획 '기업 환경경영 점검’
2030년 환경성과 달성 '첫 해'로..온실가스 감축 성과
폐전자제품 회수 후 '리사이클링'..자원순환 핵심 삼아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LG전자[066570]는 지속가능한 미래에 기여한다는 목표를 큰 틀로 오는 2030년을 주요 환경성과 달성의 '첫 해'로 잡고 다양한 친환경 경영을 펼치고 있습니다.

 

지난 7월 발간된 LG전자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030년 탄소중립 달성을 비롯해 재생에너지 60% 달성, 사업장 폐기물 재활용률 95% 등을 주요 목표로 내걸었습니다. 이를 위해 생산부터 사용까지의 전 과정에 있어 친환경 추구를 핵심으로 삼고 ▲탄소중립 ▲자원순환 ▲제품 전과정 책임으로 추진방향을 잡았습니다. 

 

탄소중립의 경우 오는 2030년까지 지난 2017년 대비 탄소배출을 50% 감축을 목표로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 중입니다.

 

우선 생산 단계에서부터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자 공정 내 에너지 고효율 설비와 탄소 배출량 감축 장치를 비롯해,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꼽히는 대표적 온실가스인 'SF6(육불화황)'를 감축하기 위한 설비도 도입했습니다.

 

또한, 전 세계에 퍼져 있는 생산 사업장의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와 고효율 제품 판매를 통해 저감한 전력 사용량을 탄소배출권으로 받는 CDM 사업에도 만전을 기하는 상황입니다.

 

다양한 노력을 펼친 결과 LG전자는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지난 2017년 LG전자의 직접 온실가스 배출량과 간접 온실가스 배출량을 합친 총 배출량은 이산화탄소환산량(COeq)으로 193만3000톤이었으나 2021년에는 115만2000톤으로 약 78만1000톤을 줄였습니다.

 

 

이와 함께, 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 탄소비용 책정, 탄소회계 도입,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 및 검증 등 탄소중립의 빠른 달성을 위한 다양한 노력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오는 2030년 재생에너지 전환율 60%, 나아가 2050년에는 100% 전환을 목표로 녹색요금제, PPA 등의 옵션을 통한 재생에너지 구매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의 핵심..폐전자제품의 '리사이클링'

 

LG전자의 친환경 경영 행보 중 탄소중립 외에 주목해 볼 수 있는 부분은 '폐전자제품 회수'를 바탕으로 한 자원의 리사이클링 과정입니다.

 

LG전자가 폐전자제품 회수를 본격 추진한 것은 2000년대부터입니다. 이후 최근 지속가능에 의한 친환경이 대두되고 자원순환의 중요성이 부각되며 국내와 해외에서 폐전자제품 회수를  적극적으로 진행 중입니다.

 

국내에서 이뤄지는 회수 프로세스는 고객이 회수신청을 하면 LG전자가 이를 직접 회수하고, 이후 분해 및 분류과정을 거친 뒤 원자재로 재활용하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해외의 경우 52개국 87개 지역을 대상으로 WEEE(전기전자폐기물) 규정과 각 국가의 현행 재활용 관련 규정 및 요구사항을 반영해 폐전자제품 회수가 진행됩니다.

 

특히, 회수 과정에서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차단에도 신경썼습니다. 폐전자제품 회수 책임에 대한 개별 생산자 책임 준수를 비롯해 폐제품의 재활용 가능성 향상을 위해 제품 개발 단계부터 재활용성에 대한 평가, 폐기 시 매립 및 소각에 따른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을 펼치기도 했습니다.

 

체계적으로 회수를 펼친 결과 지난해 회수처리 실적이 2년 전인 2019년 대비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지난 2021년 국내에서 12만4763톤, 해외에서 31만7552톤의 폐전자제품을 회수하며 2019년 회수량(국내 10만3503톤, 해외 25만1694톤)보다 늘은 숫자를 기록했습니다.

 

이 외에도, LG전자는 제품의 친환경 등급을 부여하는 '친환경 제품 평가'와 제조부터 폐기 과정까지의 환경영향을 측정하는 '제품 전과정 평가' 등 제품의 생애주기 모든 과정에서 친환경을 위한 행보를 펼치고 있습니다. 또, 제품 내 유해물질 대체 기술 적용 및 확보와 재활용 소재 사용, 친환경 포장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LG전자 측은 "기후변화, 환경오염 등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해 경영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긍정적 영향은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지속가능한 미래에 기여할 수 있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More 더 읽을거리

홍승표 기자 softman@inthenews.co.kr


“언론 플레이는 제가 다 할 수 있어..융단 폭격하지요 뭐”

“언론 플레이는 제가 다 할 수 있어..융단 폭격하지요 뭐”

2024.03.28 10:39:42

부산 =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필요하면 융단 폭격하지요 뭐”, “그냥 지역신문 이런 거 아닙니다”, “암튼 언론 걱정은 하지 마세요.”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는 한 인터넷신문의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취재본부에서 청탁성 기사로 의심되는 기사가 대거 게재돼 물의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해당 기사 때문에 선의의 피해자들이 대거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이어서 각별한 주의가 요망됩니다. 28일 인더뉴스가 입수한 단체 카카오톡방(이하 단톡방)에는 다소 과격해 보이는 대화내용이 이어집니다. 이 단톡방은 내달 입주가 예정돼 있는 부산 일광의 신축 타운하우스 입주예정자들이 모여 있는 곳인데요. 타운하우스의 입주 예정자인 A씨는 거침 없는 언사를 쏟아냈습니다. 그는 단톡방에 있는 사람들에게 "계속 민원을 넣어주세요. 알아야 됩니다. 사태의 심각성을.."이라며 민원을 사주하는 듯한 말을 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언론 플레이는 제가 다 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면 융단 폭격하지요 뭐."라며 "언론 들어가면 그 때부터는 이판 사판"이라고 시행사와 시공사를 상대로 언론공세를 퍼붓겠다는 계획을 피력했습니다. 특히 그는 "기장에서 싸움나면 우리 안 집니다."라며 "실수하면 우리가 질 수도(있는데)... 현장에 농성텐트를 칩시다"라며 입주 예정자들을 상대로 선동을 하는 듯한 말도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A씨가 공언한 것이 실제로 현실화됐다는 점입니다. 이와 관련한 내용이 단톡방에서 시작된 때는 이달 초. 불과 10여일 뒤인 12일에 처음으로 <“입주가 코앞인데”...부산 기장 아파트 입주민, 시공하자에 ‘분통’>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나왔습니다. 기사에는 단톡방에서 이야기된 대로 일부 입주예정자들이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기장군청 앞에서 시위를 벌이는 내용이 사진과 함께 실렸습니다. 이어 3일 뒤인 15일에는 또 다시 같은 매체에서 <“2년을 기다렸는데”...부산 기장 한 아파트, 입주의 꿈이 지옥 현실로>라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소수의 입주예정자들이 군청 앞에서 시위를 하는 모습이 기사에 담겼습니다. A씨가 단톡방에서 단언한 대로 ‘언론 플레이’는 계속됐습니다. 22일에는 <“안전한 환경 조성해달라” 부산 한 아파트 입주민들의 호소>라는 제목의 기사가 나왔고, 급기야 27일에는 [단독]이라는 머릿글을 달아서 <한수원 직원이 1100억대 시행사 부사장?...겸직 신고 ‘유명무실’>이라는 자극적인 기사를 끝으로 이른 바 ‘융단 폭격’이 완성됐습니다. 이와 관련, 입주 예정자들은 불안한 마음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자신들이 살아야 할 집에 대한 이미지나 가치가 떨어질 게 뻔해 보이기 때문. 한 입주 예정자는 “일부 분양자들의 민원과 시위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해는 되지만, 원치 않는 내용들로 인해 저희 집에 대한 이미지가 나빠질까 불안하다”며 “예정대로 입주를 희망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이 매체가 쏟아내고 있는 기사들 때문에 선의의 피해자들이 대거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계속 이런 부정적인 기사들이 나오면 입주할 마음이 있던 사람들도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다”며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시행사나, 시공사는 물론 이미 계약을 한 다수의 입주 예정자들에게 막대한 금전적인 손실을 끼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