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경기침체와 고물가로 인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라면 수요가 늘면서 농심이 올 상반기 호실적을 거뒀습니다. 지난해 2분기 전쟁에 따른 경영악화로 국내사업 첫 분기 적자를 냈었지만 올해 흑자로 돌아섰습니다.
농심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5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62.5% 증가했다고 11일 공시했습니다.
2분기 매출은 8375억원으로 전년 대비 10.8%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60.9% 늘어난 45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2분기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밀 등 국제 원자재 가격과 물류비 등 제반 경영비용이 크게 오른 시기였습니다. 당시 농심은 국내 사업 수익성 악화로 1998년 이후 국내 첫 영업이익 적자를 낸 바 있습니다. 기저효과로 올해 영업이익 성장률이 크게 나타났습니다.
다만 2분기 영업이익은 올 1분기 대비 15.8% 감소했으며 국내사업에서 31.4% 줄었습니다. 국제정세 및 이상기후 영향으로 전분, 스프, 시즈닝류 등 원재료 가격 상승세가 계속돼 원가부담이 가중됐다는 게 농심 측 설명입니다.
올 상반기 매출은 1조6979억원으로 13.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175억원으로 전년보다 204.5% 신장했습니다.
농심의 상반기 성장의 핵심은 해외에 있습니다. 상반기 중 농심은 전체 영업이익의 50% 이상을 해외에서 거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그 중에서도 미국법인이 농심 전체 영업이익의 28%에 해당하는 337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성장을 주도했습니다.
미국법인의 상반기 매출은 전년 대비 25.2% 늘어난 3162억원, 영업이익은 536% 증가한 337억원입니다.
농심은 월마트 등 미국 TOP 4 대형거래선을 대상으로 신라면 등 주력제품을 공급하고 신제품을 입점시키고 있습니다. 농심 미국법인은 코스트코에서 47%, 샘스클럽에서 95% 각각 매출이 늘었습니다.
이는 미국 제2공장 가동으로 인한 공급량 확대가 주효했다는 평가입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미국 내 수요가 증가하자 한국 생산 제품을 수출해 오던 상황에서 제2공장 고속라인 가동으로 원활한 공급이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지난해 2분기 미국시장에서의 가격인상(평균 9%)과 4분기 이후 국제 해상운임 안정화 추세 역시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 증가의 한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앞서 신동원 농심 회장은 최근 2030년까지 미국 시장에서 지금의 3배 수준인 연 매출 15억달러를 달성하고, 라면시장 1위에 오른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습니다. 이를 위해 농심은 이르면 오는 2025년 미국 제3공장을 착공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