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신세계가 2분기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야외활동 증가로 백화점과 자회사 모두 호실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매츨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사상 최대입니다.
신세계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87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94.7% 증가했다고 10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1조8771억원으로 34.5%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394.1% 증가한 82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백화점은 패션·아웃도어 브랜드가 매출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매출 6235억원, 영업이익 1211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5.5%, 80.6% 신장했습니다. 경기점 패션 장르 리뉴얼과 대전신세계 안착으로 여성패션(34.2%), 남성패션(34.7%), 아웃도어(43.6%) 등 대중 장르 중심 오프라인 매출이 늘었습니다.
디지털 부문도 성장했습니다. 신세계백화점 온라인 매출액이 전년보다 12.2% 증가했습니다. 여행 등 모바일 앱 콘텐츠 강화, SSG닷컴 신규 전문관 오픈 등 콘텐츠가 주효했습니다. 특히 유통업계 최초 자체 캐릭터인 푸빌라를 활용한 NFT(대체불가토큰)는 판매 1초 만에 완판되기도 했습니다.
오프라인의 경우 2030 고객의 매출이 같은 기간 38% 증가했으며 시코르닷컴도 67.6%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신세계는 하반기 강남점 영패션 전문관 리뉴얼 오픈과 함께 SSG닷컴 내 럭셔리 콘텐츠 강화에 나설 예정입니다.
자회사들도 두 자릿 수 매출 성장률로 그룹 호실적에 힘을 더했습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올 2분기 매출이 12.7% 증가한 3839억원, 영업이익은 46.0% 증가한 38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1분기부터 6분기 연속 성장세입니다. 리오프닝에 따른 패션 장르의 높은 수요로 스튜디오 톰보이, 보브 등 자체 여성복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0% 늘었습니다.
신세계디에프는 매출 8132억원, 영업이익 28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중국의 국경 봉쇄 지속, 환율 상승으로 인한 대량 판매 위축 등 대외 여건 속에서도 개별 관광객에 주력한 판매 전략, 리스 회계 효과로 인한 회계상 비용 절감으로 흑자 전환했다는 설명입니다.
신세계 센트럴시티도 호텔, 백화점 등 매출 증대에 따른 임대 수익 증가로 전년보다 22.2% 증가한 매출 800억원과 65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습니다. 신세계까사는 상품 경쟁력과 신규점·굳닷컴(온라인)의 안착으로 전년 대비 40.5% 증가한 67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신세계 관계자는 “디지털 전환 등 백화점의 성장과 자회사들의 호실적에 힘입어 분기 연속 최대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며 “하반기 강남점 리뉴얼, SSG닷컴 신세계백화점몰의 전문관 강화와 자회사의 내실있는 성장을 바탕으로 더욱 호전된 실적을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