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코오롱인더스트리는 4일 영업(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2022년 2분기 매출액 1조 3,883억 원, 영업이익 885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매출액은 제조부문에서 타이어코드, 아라미드 등 산업자재 주요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패션부문에서는 아웃도어·골프 관련 브랜드의 꾸준한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역기저 효과로 인해 사상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전년 동기 대비 16.3% 감소했지만, 국제유가와 원재료비 급등 및 중국 내 도시 봉쇄 조치 등 대외 악재 속에서도 제품가격 인상과 패션부문의 성장세를 바탕으로 견조한 실적을 올렸습니다.
산업자재부문은 타이어코드와 아라미드가 캐시카우 역할을 했습니다. 타이어코드는 제품 가격을 인상하면서 지난해 교체용 타이어의 높은 수요와 올해 신차용 타이어 수요도 함께 증가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또한 올해 9월 베트남 공장 증설이 완료되면 추가 매출 확대와 이익을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라미드는 하이브리드 타이어코드 수요 증가와 글로벌 5G 광케이블 보강재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로 호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지난해 착공한 아라미드 더블업(Double-Up) 증설 설비도 내년에 완공되면 7500톤에서 1만5000톤으로 생산량이 증가해 매출 및 영업이익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화학부문은 원료가 상승에 발맞춰 제품가격을 인상해 석유수지와 페놀수지 제품군을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필름·전자재료부문은 높은 수출 운임 비용과 원료가의 영향 등으로 실적이 감소했습니다.
패션부문은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늘어나며 2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코오롱스포츠는 상품 경쟁력 강화와 MZ세대 고객 증가로 매출과 이익율이 모두 개선됐습니다.
골프 브랜드는 신규 골프 유입 인구가 증가하고 고정관념을 탈피한 디자인과 상품 개발로 실적이 큰 폭으로 성장했고, 틈새시장을 겨냥한 신규 브랜드(더카트골프, 볼디스트 등)도 시장에 조기 안착하는 등 매출 신장에 기여했다는 평입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관계자는 "2분기 들어 원자재 가격 고공행진과 함께 코로나19 재유행, 중국의 도시 봉쇄 정책 등 예상치 못한 대외 리스크가 발생해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그러나 타이어코드와 아라미드 등 산업자재부문의 좋은 실적과 패션 부문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바탕으로 비교적 양호한 2분기 실적을 달성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