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lectronics 전기/전자

‘가전·전장’의 힘…LG전자, 2분기 매출·영업익 역대 최대 기록

URL복사

Thursday, July 25, 2024, 16:07:16

2분기 매출액 21조6944억원, 영업이익 1조1962억원
생활가전·전장 사업 매출 합계 역대 최대…'균형 잡힌 질적 성장'
새로운 사업방식 도입 가속화…신사업 조기 육성 속도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전자[066570]가 생활가전 사업과 전장 사업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역대 2분기 최대 매출·영업이익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LG전자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 1조19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2% 증가했다고 25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21조69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했습니다.

 

이번 2분기 LG전자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모두 역대 최대치입니다. 특히, 주력사업인 생활가전과 미래 성장 사업 중 하나인 전장 사업이 전 분기를 통틀어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호실적에 일조했습니다.

 

생활가전을 맡은 H&A사업본부와 전장 사업을 맡은 VS사업본부 2분기 매출액의 합은 11조53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해 8.2% 늘었습니다. 영업이익의 합도 77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7% 증가했습니다.

 

이에 대해 LG전자는 "이는 현재 주력사업과 미래 사업의 균형 잡힌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는 방증이다"라며 "이들 사업은 외형 성장뿐 아니라 견조한 수익성까지 확보하고 있어 수익성 기반의 질적 성장까지 견인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H&A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8조8429억원, 영업이익 6944억원을 기록하며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1%, 16% 올랐습니다. 이는 매출액의 경우 전 분기를 통틀어 최대, 영업이익은 2분기 기준 최대치입니다.

 

중남미, 중동·아프리카와 같은 신흥시장 수요 확대에 맞춰 라인업과 가격대를 다변화하는 등 시장 양극화에 대응하는 볼륨존 전략이 주효했으며 구독, 온라인 등 신규 사업 영역의 성과도 실적에 기여했습니다.

 

VS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2조6919억원, 영업이익 81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 올랐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으며 역시 매출액은 전 분기를 통틀어 최대, 영업이익은 2분기 기준 최대치입니다. 일시적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 영향에도 프리미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제품의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하며 성장을 지속했습니다.

 

HE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3조6182억 원, 영업이익 97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올레드 TV의 주요 시장인 유럽 지역 수요 회복에 힘입어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5% 오른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BS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1조4644억원, 영업손실 5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LED 사이니지, 전자칠판, 게이밍모니터 등 전략 제품의 매출 확대가 이어지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9% 늘었으나 수익성 측면에서는 원가상승 요인과 전기차 충전, 로봇 등 육성 사업의 투자가 이어지며 소폭 영업손실을 냈습니다.

 

LG전자는 3분기 실적도 긍적적일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B2B 사업에서 최근 스마트홈 플랫폼 기업 앳홈(Athom) 인수를 진행했으며 냉난방공조, 빌트인 등 사업 확대를 지속할 예정이라 설명했습니다.

 

TV 시장에서도 프리미엄 제품인 올레드 TV 수요 회복세는 전체 TV 시장 대비 높을 것으로 전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성장을 예상했습니다.

 

또한, 상업용 디스플레이나 게이밍모니터와 같은 프리미엄 제품의 시장 성장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B2C 사업에서는 제품(HW) 판매 위주 기존 사업모델에 콘텐츠·서비스, 구독 등 무형(Non-HW) 영역을 결합하는 새로운 사업방식 도입을 가속화할 방침입니다. 웹OS 콘텐츠·서비스 사업은 TV에서 IT, 인포테인먼트 등으로 사업영역과 모수(母數)를 확대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LG전자는 웹OS 콘텐츠·서비스 사업의 올해 매출액이 1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구독 사업이 고속 성장함에 따라 지난해 구독 매출은 1조원을 넘긴 바 있으며 올해 성장세가 더 빨라진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지난달 LG베스트샵에서 판매된 주요 가전제품의 구독 비중은 36.2%로 나타났습니다.

 

신사업 전력화에도 속도를 냅니다. LG전자는 제조 노하우에 AI를 결합해 시작한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미래 사업으로 낙점하고 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팩토리 사업에서 올해 그룹 계열사를 제외한 외부 업체 대상 수주액은 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기차 충전 사업은 북미 1위 충전사업자 차지포인트사와 손잡고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이종현 기자 flopig2001@inthenews.co.kr

배너

대한항공, 인천공항 제2터미널 ‘럭셔리 라운지’ 공개…18일 정식 개장

대한항공, 인천공항 제2터미널 ‘럭셔리 라운지’ 공개…18일 정식 개장

2025.08.14 17:35:24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대한항공이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면세구역 라운지를 대대적으로 재단장하고 오는 18일부터 정식 운영에 돌입합니다. 14일 대한항공이 공개한 '마일러 클럽'과 '프레스티지(동편) 라운지'는 고급 호텔 수준의 인테리어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결합한 것이 특징입니다. 대한항공은 골드·차콜·블랙·아이보리 톤을 기본으로 한 공간에 한옥 기둥 등 전통 요소를 접목했고, 메탈·원목·대리석을 활용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구현했습니다. 특히 업계 최초로 ‘라이브 스테이션’을 도입해 그랜드 하얏트 인천 셰프가 직접 조리한 요리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메뉴는 분기별로 교체하며, 피자·크루아상·스테이크·김밥·떡국 등 제철 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음식을 선보입니다. 이외에도 한식·양식·베이커리·샐러드바·누들바·주류바와 바리스타 커피 서비스, 바텐더 칵테일도 제공합니다. 라운지 내에는 웰니스 존, 테크 존, 미팅룸, 샤워실 등 복합 편의 시설도 마련했습니다. 대한항공은 먼저 리뉴얼을 마친 라운지를 오픈하는 동시에 인천국제공항 내 다른 라운지 개편을 후속으로 진행합니다. 대상은 일등석 라운지, 프레스티지 동편(좌측) 라운지, 프레스티지 서편 라운지이며 내년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입니다. 일등석 고객들은 공사 기간 동안 한시적으로 마일러 클럽을 이용하게 됩니다. 라운지는 보통 항공기 탑승 전 프리미엄 고객들이 휴식할 수 있게 제공하는 공간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한항공은 라운지에서부터 새로운 여행 경험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컨셉의 공간을 구성 할 계획입니다. 리뉴얼이 모두 마무리되면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운영하는 대한항공 라운지는 총 6곳으로 확대되며, 총 면적은 5105㎡에서 1만2270㎡로 2.5배 가까이 넓어집니다. 라운지 총 좌석수는 898석에서 1566석으로 늘어납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새롭게 탈바꿈한 라운지는 대한항공 허브 라운지의 중심이 될 것"이라며 "프리미엄 서비스를 강화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