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lectronics 전기/전자

‘가전·전장’의 힘…LG전자, 2분기 매출·영업익 역대 최대 기록

URL복사

Thursday, July 25, 2024, 16:07:16

2분기 매출액 21조6944억원, 영업이익 1조1962억원
생활가전·전장 사업 매출 합계 역대 최대…'균형 잡힌 질적 성장'
새로운 사업방식 도입 가속화…신사업 조기 육성 속도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전자[066570]가 생활가전 사업과 전장 사업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역대 2분기 최대 매출·영업이익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LG전자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 1조196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2% 증가했다고 25일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21조69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5% 증가했습니다.

 

이번 2분기 LG전자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모두 역대 최대치입니다. 특히, 주력사업인 생활가전과 미래 성장 사업 중 하나인 전장 사업이 전 분기를 통틀어 최대 매출을 기록하며 호실적에 일조했습니다.

 

생활가전을 맡은 H&A사업본부와 전장 사업을 맡은 VS사업본부 2분기 매출액의 합은 11조53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해 8.2% 늘었습니다. 영업이익의 합도 776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7% 증가했습니다.

 

이에 대해 LG전자는 "이는 현재 주력사업과 미래 사업의 균형 잡힌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는 방증이다"라며 "이들 사업은 외형 성장뿐 아니라 견조한 수익성까지 확보하고 있어 수익성 기반의 질적 성장까지 견인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세부적으로 보면 H&A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8조8429억원, 영업이익 6944억원을 기록하며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1%, 16% 올랐습니다. 이는 매출액의 경우 전 분기를 통틀어 최대, 영업이익은 2분기 기준 최대치입니다.

 

중남미, 중동·아프리카와 같은 신흥시장 수요 확대에 맞춰 라인업과 가격대를 다변화하는 등 시장 양극화에 대응하는 볼륨존 전략이 주효했으며 구독, 온라인 등 신규 사업 영역의 성과도 실적에 기여했습니다.

 

VS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2조6919억원, 영업이익 81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 올랐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으며 역시 매출액은 전 분기를 통틀어 최대, 영업이익은 2분기 기준 최대치입니다. 일시적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 영향에도 프리미엄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제품의 수요 증가에 적극 대응하며 성장을 지속했습니다.

 

HE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3조6182억 원, 영업이익 97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올레드 TV의 주요 시장인 유럽 지역 수요 회복에 힘입어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15% 오른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BS사업본부는 2분기 매출액 1조4644억원, 영업손실 5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LED 사이니지, 전자칠판, 게이밍모니터 등 전략 제품의 매출 확대가 이어지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9% 늘었으나 수익성 측면에서는 원가상승 요인과 전기차 충전, 로봇 등 육성 사업의 투자가 이어지며 소폭 영업손실을 냈습니다.

 

LG전자는 3분기 실적도 긍적적일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B2B 사업에서 최근 스마트홈 플랫폼 기업 앳홈(Athom) 인수를 진행했으며 냉난방공조, 빌트인 등 사업 확대를 지속할 예정이라 설명했습니다.

 

TV 시장에서도 프리미엄 제품인 올레드 TV 수요 회복세는 전체 TV 시장 대비 높을 것으로 전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성장을 예상했습니다.

 

또한, 상업용 디스플레이나 게이밍모니터와 같은 프리미엄 제품의 시장 성장도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B2C 사업에서는 제품(HW) 판매 위주 기존 사업모델에 콘텐츠·서비스, 구독 등 무형(Non-HW) 영역을 결합하는 새로운 사업방식 도입을 가속화할 방침입니다. 웹OS 콘텐츠·서비스 사업은 TV에서 IT, 인포테인먼트 등으로 사업영역과 모수(母數)를 확대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LG전자는 웹OS 콘텐츠·서비스 사업의 올해 매출액이 1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구독 사업이 고속 성장함에 따라 지난해 구독 매출은 1조원을 넘긴 바 있으며 올해 성장세가 더 빨라진 것으로 관측했습니다.

 

지난달 LG베스트샵에서 판매된 주요 가전제품의 구독 비중은 36.2%로 나타났습니다.

 

신사업 전력화에도 속도를 냅니다. LG전자는 제조 노하우에 AI를 결합해 시작한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미래 사업으로 낙점하고 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팩토리 사업에서 올해 그룹 계열사를 제외한 외부 업체 대상 수주액은 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기차 충전 사업은 북미 1위 충전사업자 차지포인트사와 손잡고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More 더 읽을거리

이종현 기자 flopig2001@inthenews.co.kr

배너

[인더필드] “바삭과 딱딱은 한 끗 차이”…bhc 콰삭킹 ‘후라이드 갈망’ 풀까

[인더필드] “바삭과 딱딱은 한 끗 차이”…bhc 콰삭킹 ‘후라이드 갈망’ 풀까

2025.04.02 18:31:35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후라이드에 대한 갈망이 있었다. bhc 치킨 중 '소스'하면 맛초킹과 골드킹, '시즈닝'하면 뿌링클이 꼽힌다. 후라이드도 판매량이 적진 않지만 다른 제품에 비해 특징이 적다는 생각이 있었고 '특별한 후라이드를 만들어보자'는 마음에 개발하게 됐다" bhc가 봄을 맞아 신메뉴 ‘콰삭킹’을 꺼내 들었습니다. ‘뿌링클’로 대표되는 bhc는 콰삭킹을 앞세워 후라이드 치킨 존재감도 키운겠다는 구상입니다. 이석동 bhc R&D센터 메뉴 개발팀장은 지난 1일 서울 성동구 bhc 금호동점에서 열린 콰삭킹 출시 기념 미디어 행사에서 콰삭킹이 기존 후라이드 치킨과는 차별화된 바삭함을 제공할 수 있을 거라고 자신했습니다. bhc는 지난 2월 28일 올해 첫 신제품으로 콰삭킹을 출시했습니다. 바삭한 식감을 표현하는 의성어 ‘콰삭’과 bhc 시그니처 메뉴명 ‘킹’을 조합해 만들었습니다. 콰삭킹은 bhc 킹 시리즈 중 처음 선보이는 후라이드 메뉴입니다. 기존의 킹 시리즈는 맛초킹·골드킹·레드킹·내슈빌 퐈이어킹으로 이뤄졌습니다. 콰삭킹은 쌀 크럼블 2종, 감자와 옥수수 각 1종씩을 활용해 크리스피 크럼블을 배합했습니다. 크럼블은 치킨의 식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튀김 반죽 조각이나 기술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얇고 균일한 튀김옷과 달리 거친 입자의 조각을 통해 기름을 튀길 때 내부 수분이 더 쉽게 빠져나가면서 바삭한 식감이 유지됩니다. 이석동 팀장은 크럼블 개발 과정에 대해 "처음에는 크럼블을 동글동글한 모양으로 진행했더니 컬감이 안 나왔다. 기름을 많이 먹어 느끼해질 수도 있어서 가는 슈레드 타입으로 변경했다. 가늘게 슈레드를 만드는 게 쉽지 않아 개발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말했습니다. 또 "4종을 같이 먹었을 때 은은한 맛이 어우러져 고소한 맛이 난다"고 설명했습니다. bhc는 해마다 평균 2개의 신제품을 출시합니다. 으레 때가 돼 나온 신메뉴 같지만 이번 메뉴에는 특히 공을 들였다는 후문입니다. 콰삭킹 개발을 위해 보통 메뉴 개발 때보다 많은 1000마리 이상의 닭을 사용했습니다. 개발 기간도 이전 메뉴들은 평균 4~5개월 정도 걸렸지만 콰삭킹은 지난해 5월 기획해 올해 2월 출시까지 약 10개월이 걸렸습니다. 오래 준비한 만큼 출시 사전 테스트에서도 호평을 받았습니다. bhc에 따르면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된 2040세대 소비자 조사에서 참여자의 약 90%가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외부 조사를 통해 수렴한 부족한 부분은 제품 개발 과정에 반영했습니다. 소비자가 치킨을 먹는 다양한 상황을 가정해 여러 조건에서 테스트도 진행했습니다. 이 부장은 "콰삭킹이 식어도 맛있는지, 배달 후 한 시간이 지났을 때 상태는 어떤지, 먹다가 남겨 냉장고나 냉동고에 넣어뒀다가 먹을 때는 어떤지 등을 테스트했다"며 "콰삭킹은 냉장고에서 꺼내 에어프라이어에 돌려먹었을 때도 바삭한 맛을 유지할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최근 치킨 프렌차이즈 업계는 크럼블 튀김옷 연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교촌치킨의 ‘블랙시크릿’이나 맥시카나 ‘치필링HOT’, KFC ‘핫크리스피치킨’ 등이 크럼블이 강조된 스타일의 메뉴입니다. 크럼블 튀김옷으로 만드는 치킨은 일반 튀김옷 치킨보다 바삭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동시에 프리미엄 이미지와 SNS 바이럴 효과도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입니다. 매콤함이나 달콤함이 맛을 결정짓는 양념치킨, 시즈닝치킨과 달리 후라이드는 그 자체만으로 경쟁력을 앞세우기 어려운 메뉴입니다. "후라이드가 거기서 거기지"라고 생각하는 소비자가 많은 이유기도 합니다. 이 부장은 차별화된 크럼블 소재와 미묘한 배합으로 후라이드도 차별화할 수 있다는 점을 내웠습니다. 그는 "크럼블 소재들의 조화를 얼마나 잘 맞추느냐에 따라 고객은 맛있다, 맛없다고 평가할 수 있다. 밸런스가 살짝만 달라져도 소비자는 맵다고 느낄 수 있기 때문에 0.1~0.2g 차이의 크럼블 배합 테스트를 수 차례 진행했다"고 말했습니다. 초반 판매 실적은 나쁘지 않습니다. 콰삭킹은 출시 3주 만에 30만개 넘게 팔렸고 지난달 27일 기준 한 달 누적 판매량은 37만개를 넘어섰습니다. bhc 역대 신메뉴 중에서도 눈에 띄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뿌링클에 이어 판매량 2위입니다. bhc는 콰삭킹이 자사 전체 후라이드 메뉴 성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bhc는 올해만 3개의 신제품 출시를 예고했습니다. 지난달 선보인 크리스프 콘셉트의 콰삭킹을 시작으로 7월에는 테이스티 콘셉트로 맛을 강조한 메뉴를, 이어 10월에는 풍미를 앞세운 쥬시 콘셉트의 메뉴를 각각 출시할 예정입니다. 효자 메뉴인 뿌링클과 더불어 꾸준한 신메뉴 출시로 이슈를 선점해 업계 1위 자리를 견고히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최근 bhc는 콰삭킹 TV 광고도 공개하며 홍보 마케팅을 본격화했습니다. 치킨의 기본이 되는 후라이드 메뉴인 만큼 타겟층은 10대부터 30대 이상까지 넓게 잡았습니다. 가격은 한 마리 2만1000원, 콤보윙스틱 구성은 2만3000원입니다. 연내 순살 제품도 선보일 계획입니다. 이 부장은 "치킨의 바삭함이 과하면 소비자는 딱딱하다고 느낀다. 눈으로 봤을 때 괜찮아 보여도 실제로는 딱딱한 식감이 날 수 있다. 콰삭킹은 바삭한 식감에 대한 기준을 잡기 위해 그런 부분들을 중점적으로 테스트했다"며 "바삭함과 딱딱함은 한 끗 차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