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Food 식품

[인더필드] 아는 사람만 가는 교촌필방 ‘치마카세’ 치킨에 스민 명품전략

URL복사

Friday, November 10, 2023, 12:11:53

치킨에 오마카세 접목한 교촌치킨 '야심작'
리뉴얼 통해 전략 수정..'묵암' 먹과 석재 활용
비밀공간·체험요소로 MZ세대 입소문 기대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방탈출 카페는 일상적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재밌습니다. 오감으로 힌트를 조합해 새로운 공간을 찾고 제한 시간에 탈출하면 성취감을 준다는 점에서 젊은 층에서 인기입니다. 이전에는 없던 놀이 문화입니다. MZ세대에게 소비는 경험이고 특별한 경험은 개성이자 경쟁력으로 작용합니다.

 

교촌필방 치마카세는 그런 점에서 방탈출 카페와 닮은 구석이 있습니다. 교촌필방은 교촌에프앤비가 운영하는 교촌치킨의 플래그십 스토어로 올해 6월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 문을 열었습니다. 교촌치킨은 이곳에 업계 최초로 치킨과 오마카세(맡김차림)를 접목한 '치마카세'를 선보였습니다.

 

교촌필방은 큰 간판이 없습니다. 'KyoChon 1991' 같은 간판이 크게 달려 있을 걸 상상했기에 입구를 찾는 데 애를 먹었습니다. 지도와 건물을 여러 번 번갈아 보다가 발견했습니다. 커다른 붓이 힌트였습니다. 교촌의 조리 방식을 상징하는 대형 붓을 수직으로 당기면 미닫이문이 열리는 구조입니다.

 

매장명에 붓을 만들어 판매하는 '필방'이 붙은 만큼 출입구부터 장인이 제작한 다양한 붓들을 전시해놨습니다. 매장에 들어가 홀 한쪽 벽면에서 식자재 진열대로 위장하고 있는 문을 한 번 더 밀면 새로운 공간이 펼쳐집니다. '스피크이즈바'를 테마로 꾸민 치마카세 전용 공간입니다.

 

스피크이즈바는 1920~1930년대 미국 금주법 시대에 생겨난 무허가 주점이나 주류 밀매점을 일컫는 단어입니다. 간판이나 출입구가 숨겨져 있는게 특징입니다. '아는 사람만 가는' 비밀 공간 같은 개념으로 최근 국내에서도 이를 차별화 전략으로 삼는 주점, 식당이 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전에 없던 것을 볼 때 '신선하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비일상적이고 이색적인 경험은 입소문을 부르고 추가 방문과 소비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신선하다고 다 성공하는 건 아닙니다. 첫 시도는 시행착오를 겪기 마련입니다. 교촌필방 치마카세도 그랬습니다.

 

 

지난 6월 오픈 후 얼마 지나지 않아 SNS(사회관계망서비스) 등에서 가격 대비 치마카세의 품질이나 서비스에 불만족한 후기들이 나타났습니다. 핵심은 ‘가격 대비’입니다. 소비자들은 지불한 가격(12가지 메뉴·5만9000원)에 비해 적정한 수준의 대접을 받지 못했다는 것에 아쉬움을 토로했습니다.

 

교촌치킨은 3개월간 재정비를 거쳐 지난달 묵암(고요하고 어두움)을 콘셉트로 리뉴얼해 공개했습니다. 필방의 기본 요소인 먹을 활용해 공간의 고요함을 표현했습니다. 자연 재료인 석재로 울퉁불퉁한 벽을 꾸몄습니다. 한쪽에 마련된 수공간에는 석재 사이 물이 흐르고 안개가 슬며시 올라왔습니다.

 

가격은 1인당 7만원. 쾌적한 식사를 위해 좌석은 기존 7석에서 6석으로 줄였습니다. 셰프가 앞으로 진행될 코스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줍니다. 힌트를 통해 히든플레이스를 찾는 과정과 철저히 분리된 공간, 독립된 인테리어가 주는 분위기가 어딘지 모르게 방탈출카페의 한 챕터를 연상시켰습니다.

 

메뉴는 토종닭과 육계 특수 부위를 활용해 총 10가지 요리를 제공합니다. 8가지 코스요리로 닭(치킨)이라는 재료를 다양하고 다채롭게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메뉴는 ▲맞이 3종을 시작으로 ▲전체요리 ▲코스요리 1~4종 ▲식사 ▲디저트 순입니다.

 

코스요리 중 첫 번째는 토종닭 콩피&목살 숯불구이입니다. 기름에 장시간 조리한 토종닭다리와 목살을 솔잎과 숯불에 함께 구워냈습니다. 검은색 접시 위에 집기 편하게 45도 각도도 나오는 콩피를 그대로 잡아 들었습니다. 가지소스나 와사비, 핫소스 중 선택해 맛볼 수 있습니다.

 

'속을 채운 닭날개 튀김'은 닭날개라는 이름과 어울리지 않게 통통한 모습입니다. 토종닭 아래 날개에 새우살을 채워 튀겨냈습니다. 특히 허니소스가 담긴 벼루를 제공해 고객이 직접 붓으로 발라먹을 수 있게 했습니다. 교촌치킨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동시 체험 요소를 강화했습니다.

 

 

'특수부위 닭불고기'는 토종닭의 안창살과 등살 등에 특제소스를 입혔습니다. 막걸리 식초로 버무린 미나리 겉절이가 함께 나옵니다. 마지막 코스 요리 '치킨버거'는 된장소스 베이스 패티에 토종닭의 다양한 부위와 닭가슴연골을 넣었습니다. 빵 사이 볶은 톳을 얹어 오독한 식감을 살렸습니다.

 

이날 디너를 담당한 임세훈 셰프는 "닭을 활용한 다양한 요리로 실패 확률을 낮출 수 있다"며 "고객들에게 물어보면 치킨버거 선호도가 근소하게 높은 편"이라고 말했습니다. "개인마다 식사 시간이 다른데 제한 시간 내 8가지 메뉴를 내놔야 하는 것에 대한 고민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식사 메뉴인 ‘영양 솥밥 반상’은 이전 치마카세 양이 적다는 소비자 피드백을 반영해 새롭게 추가했습니다. 숯불에 구운 토종닭 넓적다리와 죽순 등 뿌리채소, 닭육수로 만들었습니다. 디저트로는 설탕 캐러멜을 곁들인 크림브륄레와 차가 테이블에 놓였습니다.

 

교촌치킨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치마카세를 시작했습니다. 교촌치킨은 올해 창립 32주년을 맞았습니다. 치열한 치킨 전쟁 속 젊은 세대에게 자칫 '옛날 브랜드'로 인식될 수 있는 만큼 당장 수익 창출보다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키겠다는 전략입니다.

 

교촌에프앤비 관계자는 “교촌필방 치마카세는 수익이 목적이라기보다 고객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주려고 한다"며 "30년 넘은 교촌 브랜드가 젊은 사람들에게 노후된 이미지를 주지 않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생동하고 있다는 느낌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장승윤 기자 weightman@inthenews.co.kr

배너

이공계 미래 인재 키운다…LG, ‘LG 테크 콘퍼런스’ 개최

이공계 미래 인재 키운다…LG, ‘LG 테크 콘퍼런스’ 개최

2025.04.03 11:03:36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그룹은 3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LG 테크 콘퍼런스'를 개최, 이공계 인재들에게 과학과 기술의 중요성을 알리고 LG의 실제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과학 영재부터 석·박사 과정 이공계 인재와 함께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LG CNS, LG AI연구원 등 LG의 주요 9개 계열사의 CEO, CTO, CHO 등 최고경영진 6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권봉석 ㈜LG 부회장을 비롯해 조주완 LG전자 사장, 정철동 LG디스플레이 사장, 문혁수 LG이노텍 부사장, 신학철 LG화학 부회장,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현신균 LG CNS 사장, 배경훈 LG AI연구원장, 정수헌 LG사이언스파크 대표 등 이날 행사장에 모인 최고경영자 11명 중 9명이 이공계 출신입니다. 권봉석 LG 부회장은 이날 행사에서 "대한민국 과학 기술의 미래를 짊어질 훌륭한 분들을 만나게 돼 정말 기쁘다"라며 "LG는 기술력이 경쟁력의 원천이라는 믿음으로 R&D 인재 확보와 최적의 연구 환경 조성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기조연설을 맡은 이홍락 LG AI연구원 CSAI(최고AI과학자)는 서울과학고 재학 시절 물리학자를 꿈꿨던 일화로 이야기를 시작했습니다. 이후 서울대에서 물리학과 컴퓨터과학을 공부하던 중 AI 연구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된 계기와 스탠퍼드와 미시간대에서 AI를 연구하며 글로벌 10대 AI 석학으로 선정된 이야기, 구글 브레인을 거쳐 LG AI연구원의 최고AI과학자라는 자리에 오기까지의 삶의 여정을 공유했습니다. LG는 특히 올해 처음으로 행사에 과학고 학생 27명을 초청하며 과학 영재 조기 육성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이날 초청받은 과학고 학생들은 LG의 혁신 기술과 제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이노베이션 갤러리 투어와 LG의 과학고 출신 선배 사원들과의 점심 식사, LG의 기술 리더들의 특강, 선배 사원과의 간담회 등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날 오후에는 LG의 기술 리더 27인의 특별한 강연인 '테크 세션'이 LG사이언스파크 6개 동에서 동시에 진행됐습니다. LG는 AI부터 빅데이터, 소프트웨어, 스마트 팩토리, 재료/소재, 통신까지 초청 인재들의 전공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분야와 함께 ▲LG전자의 가전과 모빌리티 ▲LG디스플레이의 OLED ▲LG이노텍의 광학 및 자율주행 ▲LG화학의 신약 및 첨단소재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LG CNS의 스마트 물류 등 계열사별 특화 기술들을 공유하는 강연을 준비했습니다. 테크 세션은 본인이 원하는 강연을 선택해 들을 수 있고 LG에서 연구 개발을 진행하는 기술 리더들의 연구 경험과 LG의 신기술, 기업 연구자로서의 삶에 대해 전달하는 자리였습니다. LG는 연구진들의 연구 성과 20건과 행사에 참석한 석·박사 인재들의 연구 성과 10건을 서로 공유하는 양방향 소통 기술 교류 행사도 진행했습니다. 한편, LG는 LG사이언스파크 조성에 4조원을 투자했습니다. LG사이언스파크는 서울에 위치한 단일 기업 최대 규모의 R&D 융복합 연구단지로 최근 LG전자가 4개의 연구동을 추가로 증설하며, 총 26개 동에서 8개 계열사 2만5000여명의 임직원이 협력하는 연구 허브로 자리매김했습니다. LG 관계자는 "올해 과학고 학생들까지 초청 범위를 확대한 배경에는 평소 '미래 준비를 위해서는 우수한 R&D 인재를 확보하고 육성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고 강조해 온 구광모 ㈜LG 대표의 각별한 관심이 있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구 대표 취임 이후 LG 테크 콘퍼런스 개최 장소를 LG 연구개발의 중심지인 LG사이언스파크로 옮기고 양방향 소통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은 '세상을 바꾸는 기술과 혁신은 인재에서 시작되고 이들이 곧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라는 구 대표의 인재경영 철학과 맞닿아 있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